카카오헬스케어의 인공지능(AI) 기반 모바일 혈당관리 서비스 ’파스타(PASTA)’가 국내 주요 병원의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과의 연동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혈당 데이터를 병원 시스템 내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진료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파스타(PASTA) 서비스 개요

 

‘파스타’는 환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입력한 식사, 운동, 혈당 등 생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의료진이 이를 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기반 혈당관리 서비스입니다.

 


EHR 연동 현황

 

2025년 4월 현재, 파스타는 분당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경희대병원, 건양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 등 9개 병원과 EHR 연동을 완료했습니다. 추가로 강북삼성병원 등 4개 병원이 연동을 준비 중이며, 연내 10개 이상의 병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파스타 커넥트 프로’와의 차별점

 

기존 ‘파스타 커넥트 프로’는 의료진이 별도의 웹 대시보드를 통해 환자의 혈당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식이었습니다. EHR 연동을 통해 이제는 병원 시스템 내에서 직접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진료 편의성과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케어챗(CareChat) 서비스 확대

 

카카오헬스케어는 병원 컨시어지 챗봇 서비스인 ‘케어챗’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환자들은 카카오톡 기반 챗봇을 통해 진료 예약, 결제 등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87개 병원에 도입되어 31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했습니다.

 


향후 전망

 

카카오헬스케어는 EHR 연동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의 접근성을 높이고,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당뇨 환자들의 파스타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https://m.etnews.com/20250410000235

 

병원 시스템에 바로 뜨는 혈당 패턴…카카오헬스 '파스타' 주요 병원 EHR 연동 확대

카카오헬스케어가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모바일 혈당관리 서비스 '파스타(PASTA)'가 국내 주요 병원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과 연동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환자 혈당 데이터를 병원 의료진

m.etnews.com

 

728x90
반응형
LIST
86.2%의 정확도, 오픈소스 모델 중 최초로 실제 의사 평균 정확도 뛰어넘어 우수
전자의무기록,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디지털병리시스템, 유전체 등 대규모 의료 데이터 활용
한국 의료 시스템에 특화된 AI 모델로 진료 효율성 향상 및 환자 안전 강화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 서울대병원에서 최초 개발

 

서울대병원이 국내 최초로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한국의 의료 시스템에 최적화된 AI 모델로, 의료 데이터 처리, 진료 효율성 향상, 환자 안전 강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형 의료 LLM, 왜 필요했을까?

 

현재 OpenAI의 ChatGPT, 구글의 PaLM-MED2, 마이크로소프트의 Med-LLaVA 등 다양한 의료 특화 LLM이 존재하지만, 한국어 의료 데이터와 한국의 의료법 및 진료 지침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서울대병원은 한국 의료진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LLM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2024년 3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3800만 건의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AI 학습

 

서울대병원은 입원초진, 외래기록, 수술·처방·간호기록 등 3800만 건의 임상 텍스트를 활용해 ‘한국어 의료 텍스트 말뭉치’를 구축했다. 이를 가명화 및 비식별화해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 후, 한국 의료 시스템에 적합한 AI 학습을 진행했다.

 

2025년에는 국내 의료법, 국문 논문 초록, 학회 진료 지침, 의학 약어 사전 등을 통합하여 더욱 고도화된 모델을 완성했다. 또한, 지식그래프 기반 검색증강생성(RAG) 기술과 다학제 멀티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실질적인 의료 지원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 의사 평균 정확도를 뛰어넘은 성과

 

서울대병원은 한국의사국가고시 최근 3개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 성능을 실험했다. 그 결과 86.2%의 정확도를 기록하며, 실제 의사 평균 정확도(79.7%)를 뛰어넘는 성과를 보였다. 또한, 한 번에 5만 개 이상의 단어를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을 갖춰 향후 의료 데이터 처리에서 강점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의료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

 

서울대병원은 이 모델을 의료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여러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HIS.AI – 외래 및 입·퇴원 기록을 자동 요약

CLAIM.AI – 보험 청구 및 원무 행정 업무 자동화

RESEARCH.AI – 최신 의학 논문을 연구자 맞춤형으로 큐레이션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의료진은 행정 업무 부담을 줄이고, 환자 진료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된다.

 

🎤 서울대병원의 기대감

 

이형철 교수(헬스케어AI연구원 부원장)는

 

“한국형 의료 LLM은 의료진의 업무를 돕는 중요한 도구가 되어 의료 서비스의 질을 한층 향상시킬 것입니다.”

라고 밝혔다.

 

김영태 원장은

 

“최신 기술을 지속적으로 도입하여 환자들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것입니다.”

라고 전하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 앞으로의 전망

 

서울대병원의 한국형 의료 LLM 개발은 국내 의료 AI 분야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멀티모달 AI 기술과 결합하여 더 정교한 의료 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며, 한국 의료 환경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

 

앞으로도 한국 의료 AI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기대된다! 🚀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749

 

서울대병원, 국내 최초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 의사신문

서울대병원(원장 김영태)은 최근 국내 최초로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서울대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www.doctorstimes.com

 

728x90
반응형
LIST

서울대병원서 6년만의 공개행보 글로벌 의료 AI 시장 전망

"네이버의 의료 인공지능(AI) 투자는 진심입니다." 이사회 의장 복귀를 앞 둔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 (GIO)가 지난 21일 서울대어린이병원 에서 특별 강연자로 나서 한 말이다. 네 이버 창업자인 이 GIO가 외부에서 공 식 발언을 내놓은 것은 2019년 이후 처 음이다.

24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이 GIO는 네이버와 서울대병원이 공동 주 최한 '디지털•바이오 혁신 포럼 2025'에 서 "앞으로 AI 시대에 네이버가 어떻게 살아남을지, 인터넷산업은 어떻게 끌고 갈지 고민한 끝에 여기(의료)에 실마리 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특별 강연은 2017년 3월 이사회의 장에서 물러난 지 8년 만의 복귀를 앞두 고 이뤄졌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이 GIO는 글로벌 투자와 전략에 집 중하겠다는 말과 함께 일선에서 물러 났다. 의료 AI가 8년간의 결과물인 셈 이다. 그는 강연에서 "AL라는 엄청난 물 결에 과감하게 올라타야 하는데 똑똑 한 사람에게 먼저 투자해야 방향과 전 략을 바꾸면서 잘 나아갈 수 있다고 생 각한다"며 "병원에 특화된 로봇 기술 을 합쳐 새로운 시도를 하거나 타깃을 (단위:만달러)

 

※ 2026~2030년은 전망치

자료: 스태티스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바이오 혁신 포럼 참석

"네이버 생존 실마리 여기 있다 병원 특화 로봇기술 등에 기회"

좁혀서 (AI 제품을) 만든다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2021년 의료 분야 투자를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해 네이버 헬스 케어연구소를 설립하고 나군호 연세 대 의과대학 교수를 소장으로 영입했 다. 나 소장은 지난달 2025 한경 바이오 인사이트포럼'에서 "생성형 AI를 이용 해 우버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선보이겠 다”고 밝히기도 했다. 주문형 차량 공유 서비스 우버가 소비자가 거리에서 직접 택시를 잡는 불편을 줄인 것처럼 의료 에서도 AI를 활용해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뜻이다.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 는 지난해 '네이버케어'를 시험 버전으 로 선보였다. 아픈 부위나 증상을 입력 하면 예상 가능한 병명과 가까운 진료 병원을 찾아주는 서비스다.

2023년엔 서울대병원에 3년간 300

억원 규모의 디지털 바이오 연구 지원 사업을 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의료 진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 성하고 체계적인 연구 성과 관리, 연구. 임상•사업화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서울대병 원은 네이버의 지원으로 국내 병원 최 초로 한국형 의료 특화 대규모언어모 델(LLM)을 개발했다. 의료 관련 스타 트업에도 잇달아 투자하고 있다. 네이 버의 스타트업 투자 조직인 D2SF가 투자한 스타트업 중 헬스케어 비중이 15%에 달한다. AI(17%) 다음으로 크다.

프리딕티브AL, 모니터코퍼레이션, 프 라나큐 등 유망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

2018년 대웅제약과 AI 신약 개발 및 의료 데이터 활용 사업을 위해 설립한 다나아데이터는 지난해 AI 기반 건강 코칭 서비스 '에스크미'를 선보였다. 네 이버의 LLM '하이퍼클로바X'로 개인 데이터를 분석해 건강검진 결과 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사업 모델이다.

김주완 기자

728x90
반응형
LIST

 

 

 

나의 개인 정보는 공공재..^^;;

2025년 3월 9일 (일) 오후 4:42


 

 

 

개인정보 유출 의심에 따른 안내 및 사과 말씀

 

먼저 저희 인크루트 서비스를 신뢰하고 사랑해 주신 고객님께 심려 끼쳐드린 점 머리 숙여 사과드립니다.

당사는 고객님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최우선으로 노력하여 왔으나, 외부 공격에 의해 일부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의심할 만한 정황이 확인되어 안내드립니다.

정확한 유출 일시와 경위는 현재 관련 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파악하고 있으며, 확인되면 추가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유출로 의심되는 개인정보 항목은 성명, 생년월일, 성별, 휴대전화 번호 등이며, 개인별로 유출된 정보의 항목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유출 의심 정황 발견 즉시 아래와 같은 조치를 완료하였습니다.
1. 관련 IP 차단 조치
2. 시스템 취약점 점검 및 보완 조치
3. 시스템 모니터링 강화 조치

피싱, 스미싱, 악성코드 등 2차 피해 우려가 있으니 출처가 불분명한 전화, 메시지, 이메일 등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개인 정보와 관련하여 전화나 이메일로 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니 이점 또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피해 발생 또는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 당사 고객센터로 문의해 주시면 신속히 대응하겠습니다.
- 피해 등 접수 전화번호 : 1588-6577
- 피해 등 접수 e-메일주소 : incruit@incruit.com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 손해가 발생하였다면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에 분쟁 조정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분쟁 조정 신청 : kopico.go.kr(1833-6972)

당사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고객님의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구체적으로 △정보 보호 투자 확대 △정보 보호 최신 기술 도입 및 시스템 고도화 △보안 정책 강화 △보안 전문 인력 강화 등 전사적으로 종합적인 대응 방안을 철저히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추가 피해 방지 및 예방을 위해 관련 기관 조사에 성실히 협조하고, 계속해서 고객 및 관계자들과 투명하게 소통하겠습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하여 인크루트 서비스를 믿고 이용해 주신 고객 여러분께 다시 한번 머리 숙여 사과 말씀드리며,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https://www.vegannews.co.kr/news/article.html?no=44823

 

[비건뉴스] [단독] 인크루트, 개인정보 유출 의심 사태 대한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 발표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인크루트가 최근 외부 공격으로 인해 일부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의혹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이번 사건은 고객의 신뢰를 중시하는 인크루트의 운영 방침에 큰 타격

www.vegannews.co.kr

 

728x90
반응형
LIST

 

 

요즘 가장 핫한 아이템을 가지고 빠르게 만들어 내는 것. 

참 중요한 것 같다.  기획력, 추진력, 행동력. 

 

2024년이 지나가는 이 시점에서, 계획만 많이 세워두고 정작 시작을 못하고 있는 것들이 

왜 이렇게 많은지, 한 번 되돌아 봐야겠다. 

 

나는 #이모카세

 

 

 

흑백요리사 테스트 - 당신과 닮은 요리사는?

재미있는 흑백요리사 테스트로 나와 가장 닮은 요리사 캐릭터를 찾아보세요. 지금 바로 테스트 해보세요!

culinary-wars-test.vercel.app

 

728x90
반응형
LIST

 

프라이스매치 

애플 스토어에서 구매 시,  국내 온라인 최저가 금액을 그 자리에서 보여주면, 
공식 가격의 최대 10% (최저가 금액을 넘지 않는 선에서) 할인을 지원한다. 

 

 

애플이 국내 오프라인 공식 매장에서 제품을 살 때 온라인 가격에 맞춰 가격을 깎아주는 최저가보장제를 최근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매장을 찾은 고객들에게 제공된 할인 혜택이 대폭 축소된 것으로, 애플이 매출 비중이 높은 한국 시장을 홀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코리아는 지난 20일부터 '프라이스매치' 정책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잘 적용되던 정책이 이렇게 없어지다니, 아쉽다.  

스토어에서 21일부터 프라이스매치 종료 라고 이야기 들었다는 유저.. 

 

 

맥북사러 오늘 매장 왔는데. 프라이스매치 X

맥북 구매하러 명동 매장에 왔더니 프라이스매치가 일주일전부터 이제 안해준다네요. 애플 공식적으로 내려왔다며. 지금 빈손으로 다시 가는중입니다. 이게 무슨 일인지.

cafe.naver.com

 

* 참고 기사 

 

中선 파격 할인하면서...애플, 韓 최저가보장제 없앴다

애플이 국내 오프라인 공식 매장에서 제품을 살 때 온라인 가격에 맞춰 가격을 깎아주는 최저가보장제를 최근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매장을 찾은 고객들에게 제공된 할인 혜택이 대폭 축소

n.news.naver.com

 

728x90
반응형
LIST

 

 

https://www.classcentral.com/report/free-developer-it-certifications/?ref=dailydev

 

900+ Free Developer and IT Certifications

Massive list of free certificates and badges for developers in data science, software development, and more.

www.classcentral.com

 

728x90
반응형
LIST

 

국내 디지털치료기기(DTx) 1호 불면층 치료제 앱 솜즈(Somzz),

 

불면증 증상개선을 목적으로 불면증 화자를 치료하는 방법 중 "불면증 인지행동 치료법"을 모바일 앱으로 구현, 6-9주간 실시간 피드백, 행동중재 및 환자 맞춤형 불면증 치료를 돕는다고 한다. 

 

에임메드는 지난해 9월 만성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솜즈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한 확증 임상시험계획(IND)을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았으며, 지난해 1월부터 7월까지 약 6개월간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고대안암병원과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지난해 2월 국내 최초로 식약처 승인을 받은 디지털 치료기기이다. 

 

이에 해당 앱에 대한 처방이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를 시작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서울대병원에서는 만성 불면증환자 A씨(40대) 에게 처방하여, 6주 동안 솜즈 앱을 통해 매일 수면일기를 기록하고 주간 수면효율에 따른 맞춤형 수면시간(침대에 누워있는 시간)을 처방받아 수면효율을 높일 예정이고,  세브란스병원에서 불면증 환자 A씨(20대)에게 커넥트-DTx 기반인 "솜즈"를 처방했다고 밝혔다. 

A씨는 디지털 치료기기를 통해 수면제한, 자극조절, 인지재구성, 근이완, 수면 위생교육 등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지행동치료를 받는다. 

 

출처

메디칼업저버(http://www.monews.co.kr)

뉴데일리경제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4/01/16/2024011600145.html)

728x90
반응형
LIST

 

 

카카오 헬스케어에서 드디어 서비스가 런칭 된다. " 초개인화 당뇨병 관리 솔루션 - 2등급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 로 허가 받은 "의료기기" 로! 

 

원격 진료(원격 모니터링)을 위해 개인용체내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측정된 혈당 정보를 무선기술(BLE)을 통해 수집⋅조회⋅분석⋅감시하고 자동⋅수동으로 수집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왜 파스타(PASTA)인가 ?

 개인화 서비스(Personalisation)·접근성(Accesibility)·지원(Support)·기술(Technology)·경제성(Affordability) 등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로 이들 단어의 첫 글자 조합이다. 이 솔루션이 당뇨병 환자도 ‘파스타’ 같은 음식도 먹으며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의미도 담겼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YGG7J8V7

 

 

 요즘 많이 알려진 연속혈당측정기 (CGM :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와 앱과 BLE 통신으로 혈당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개인 리포트까지 제공해주는 서비스로  카카오 헬스케어가 생기고 처음으로 유의미한 서비스가 출시되는 것 같다.

해당 데이터들을 가지고 어떻게 서비스를 할지 어느정도 예상이 되나, AI까지 접목한다고 하니, 앞으로 "카카오"라는 플랫폼에 어떻게 헬스케어 서비스를 녹여 낼지 궁금해 진다. 

(새로운 BT 기기라 연동해보고 싶긴 하다. 기존 아이센스 기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긴 하지만 새로운 거니까! :)  

 

 

세부기능 

다이어리, 리포트, 커뮤니티, 혈당공유, 파스타 커넥트 로 구성이 되어 있다고 한다. 

 

1. 다이어리 

센서로부터 수집된 혈당 데이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혈당 데이터를 히스토리 형식으로 한번에 볼 수 있는 다이어리

 

2. 리포트

CGM 착용 기간 동안 혈당 지표를 보여주는 리포트 

 

3. 커뮤니티 

일반 사용자 뿐 아니라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유익한 컨텐츠를 피드로 제공 

 

4. 혈당공유

친구들, 가족 등 지인들과 혈당 공유하여 응원, 격려해주는 서비스 

 

5. 파스타 커넥트 

앱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하나의 대시보드 형태로 볼 수 있는 웹 서비스 

 

 

최소 지원 버전 

안드로이드 8.1 이상, 아이폰은 15.1 이상 지원 

 

파스타는 당뇨병 관리 솔루션 최초로 지난달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인증을 받기도 했다. 황 대표는 “당뇨병 환자 치료에 진심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식약처 인증을 받았다. 카카오헬스케어가 의학적으로 근거 있는 서비스를 정확하게 전달할 것”이라며 “이번 인증으로 파스타를 통한 생활 습관 조정으로 당뇨병 치료에 간접적 효과가 있다는 게 입증됐다”고 말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파스타를 내년 2월 1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 국내에서는 카카오헬스케어와 제휴 관계인 덱스콤이나 아이센스의 CGM을 구매하면 이용 비용은 무료다. 황 대표는 “내년 CGM을 새롭게 착용하는 사람의 절반 이상은 ‘파스타’를 이용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한 이벤트도 진행하는데, CGM 구매 시 참여 가능한 이벤트, 관심있는 사람들은 여기로~!  

 

파스타 - 카카오 헬스케어

앱과 센서의 매끄러운 조합, 파스타를 통해 혈당을 확인하세요.

pastahealth.com

 

728x90
반응형
LIST

 

삼성은 Android 14 (One UI 6.0) 를 주요 시장인 Galaxy S23 시리즈를 시작으로 업데이트 한다고 한다. 

이 날짜는 유럽 기준 추정 날짜이며,  실제 출시 날짜는 시장과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Week 43

  • Galaxy S23: 30.10.2023 [Released]
  • Galaxy S23+: 30.10.2023 [Released]
  • Galaxy S23 Ultra: 30.10.2023 [Released]

Week 45

  • Galaxy A14 5G: Undecided
  • Galaxy A34: 13.11.2023
  • Galaxy A54: 13.11.2023
  • Galaxy S22: 15.11.2023
  • Galaxy S22+: 15.11.2023
  • Galaxy S22 Ultra: 15.11.2023
  • Galaxy S23 FE: 20.11.2023
  • Galaxy Z Flip 5: 13.11.2023
  • Galaxy Z Fold 5: 13.11.2023

 

Week 46

  • Galaxy A13 5G: 20.11.2023
  • Galaxy A33 5G: 20.11.2023
  • Galaxy A52: 27.11.2023
  • Galaxy A52s 5G: 27.11.2023
  • Galaxy A53 5G: 20.11.2023
  • Galaxy A72: 30.11.2023
  • Galaxy S21: 20.11.2023
  • Galaxy S21+: 20.11.2023
  • Galaxy S21 Ultra: 20.11.2023
  • Galaxy S21 FE: 24.11.2023
  • Galaxy Z Flip 4: 20.11.2023
  • Galaxy Z Fold 4: 20.11.2023
 

Week 47

  • Galaxy A13: 27.11.2023
  • Galaxy A14: Date Undecided
  • Galaxy A23 5G: 27.11.2023
  • Galaxy A24 5G: 01.12.2023
  • Galaxy A52 5G: Date Undecided
  • Galaxy Tab A7 Lite: Date Undecided
  • Galaxy Z Flip 3: 27.11.2023
  • Galaxy Z Fold 3: 27.11.2023

Week 48

  • Galaxy A04s: 04.12.2023

Week 49

  • Galaxy XCover 5: 08.12.2023

Undecided

  • Galaxy A05s: Date Undecided
 
One UI 6 release date

One UI 5.0: October 12, 2022
One UI 4.0: November 15, 2021
One UI 3.0: December 2, 2020
One UI 2.0: November 28, 2019
One UI 1.0: November 7, 2018

 

 

Samsung reveals One UI 6.0 rollout timeline for compatible Galaxy devices

Samsung has, so far, released the stable Android 14 (One UI 6.0) update to the Galaxy S23 series in most ...

www.sammobile.com

 

728x90
반응형
LIST

 

 

 

iOS17에서 구현될 예정인 티머니 애플페이 교통카의 충전, 잔액관리 등이 운영체제 내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배타 앱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애플페이는 아이폰 ‘지갑’ 앱에서 선불형 교통카드를 사용할 때 요금 충전이나 잔액 확인 등 기능을 제공한다.

지급결제 업계 전문가는 “티머니에서 애플페이 교통카드 서비스에 앞서 운영체제 내에서 점검을 위한 베타 앱 작업에 들어갔다”면서 “베타 앱을 통해 실제 애플페이 교통카드 서비스처럼 충전이나 잔액 확인 등이 iOS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스트 중인 베타 앱은 기능 구현 점검을 위한 것으로 애플 정책상 정식 iOS17 배포 뒤에는 사라진다. 다만 충전을 제외한 확인과 관리 등은 현재 티머니가 서비스하는 ‘티머니페이’ 앱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 일본의 스이카나 파스모 등 교통카드 앱들은 애플페이와 별도로 충전금을 관리·확인하는 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티머니는 관련 내용에 대해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티머니 관계자는 “해당 내용에 관해 확인해줄 수 있는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애플은 최근 열린 연례 WWDC 이후 개발자 페이지 ‘PK페이먼트네트워크’에 ‘티머니’를 추가했다. 종전 아멕스, 유니온페이(은련), JCB 등에 새롭게 티머니를 추가한 것이다. 현재 애플은 티머니를 통해 이르면 9월 국내 애플페이 교통카드 서비스를 탑재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3107077?sid=101 

 

티머니, iOS17 애플페이 교통카드 앱 상용화 테스트

티머니가 하반기 예정된 iOS17 배포에 맞춰 애플페이용 교통카드 관리를 위한 연동 테스트에 착수했다. 애플페이 교통카드 서비스에 앞서 충전과 잔액조회 등 아이폰 내 구동되는 기능 전체 관리

n.news.naver.com

 

 

 

tmoney |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

There's never been a better time to develop for Apple platforms.

developer.apple.com

 

728x90
반응형
LIST

 

NVIDIA와 연세의료원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MONAI Tech Talk & Bootcamp 행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일 간의 Tech Talk와 Bootcamp 행사에 무료로 참여하시고 MONAI가 그리는 의료의 미래를 확인하세요.

[이벤트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 https://bit.ly/3SG5uz2 ] 

 

1. MONAI Tech Talk *온라인 진행 - Zoom
-헬스케어 & 생명과학 분야의 AI 솔루션 분야 최신 연구 동향을 이야기합니다.
 
※ 일시 : 11월 4일 (금) 오후 2시 ~ 4시 
※ 신청방법 : 본 설문조사를 통해 이벤트 신청 
※ 아젠다 : 
  • Opening Speech  - 연세의료원 의료정보실장(CIO) 장혁재 교수 : 오후 2시 - 오후 2시 10분
  • 헬스케어 & 생명과학 분야 AI 솔루션 최신 연구 동향 
  1. [신약탐색]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ed small molecule drug discovery” - 연세대학교 의생명과학부 심태보 교수 : 오후 2시 10분 - 오후 2시 30분 (연구소 홈페이지 https://www.chemicalkinomics.com)
  2. [유전체학] "유전체 분석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 - 연세대학교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김상우 교수 : 오후 2시 30분 - 오후 2시 50분 (연구소 홈페이지 https://www.tgilab.org)
  3. [의료영상] TBD : 오후 2시 50분 - 오후 3시 10분  
  • MONAI Framework Overview - NVIDIA NVAITC 수석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류현곤 부장  : 오후 3시 10분 - 오후 3시 30분
  • Healthcare Inception Startup Showcase - CONNECT-AI 홍영택 교수 : 오후 3시 30분 - 오후 3시 50분
  • Closing Speech - NVIDIA Senior Developer Relations Manager 서완석 상무 : 오후 3시 50분 - 오후 4시
 
2. MONAI Bootcamp  *오프라인 진행
-MONAI를 직접 경험해보고 싶은 헬스케어 & 생명과학 분야 개발자들을 위한 원데이 실습 부트캠프입니다. 
 
※ 일시 : 11월 5일 (토) 오전 10시 ~ 오후 5시 
※ 신청방법 : 본 설문조사를 통해 이벤트 신청 
※ 아젠다 : 
  • Intro & Cluster access : 10시 - 10시 30분
  • MONAI end to end DL train : 10시 30분 - 12시 
  • 점심식사 : 12시 - 1시 30분 (+ 점심식사 도시락 제공)
  • Intro MONAI label : 1시 30분 - 2시 30분
  • AIAA서버와 클라이언트 환경구축 : 2시 30분 - 3시
  • Coffee break : 3시 - 3시 30분
  • Monai label을 통한 AIAA(segmentation) : 3시 30분 - 4시  
  • MONAI Bootcamp Challenge (Self-paced) : 4시 - 4시 40분
  • Review Segmentation Result : 4시 40분 - 4시 50분
  • Wrap-up & 시상: 4시 50분 - 5시
 
728x90
반응형
LIST

한화생명은 그동안 헬스케어 시장에 상당한 관심을 보여왔다. 지난 2019년에는 그룹사 컨소시엄을 만들어 정보기술(IT) 기반 의료서비스 기업인 ‘유비케어’ 인수를 시도하기도 했으며, 지난해에는 글로벌 제약사 한국에자이와 업무협약을 맺고 치매 예방 및 케어 플랫폼 개발에 나서고 있다.

또한 지난 2019년부터 소비자들의 식단이나 수면상태를 체크해주는 건강관리 앱도 운영 중이다. 헬로는 사용자가 공인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하면 과거 10년치의 건강검진정보를 한 눈에 보여주고 건강 수준을 나이로 환산한 ‘생체나이’를 분석해준다. 특히 본인이 먹는 음식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어서 영양소와 칼로리는 어떤지 자동으로 AI가 분석해 식단관리도 할 수 있다.

 

해외는 보험사가 원격의료 서비스도 시도

 

이미 해외에서는 단순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넘어 원격 의료 상당까지 진행하고 있다. 중국 핑안보험은 헬스케어 플랫폼 핑안굿닥터를 만들어 모바일 기반의 개인화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보험사 올라이프는 에이즈나 당뇨병 환자가 건강검진과 치료를 받으면 사망 및 장해보장 보험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국내는 보험업법 자체가 워낙 보수적으로 돼있고, 의료법에도 저촉돼 아직 획기적인 헬스케어 사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다만, 지난해부터 일반인대상 건강관리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법이 명확화된 만큼 보험사들도 관련 서비스 개발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상표부터 등록해!‥뜨거운 보험사 헬스케어

보험사들이 ‘헬스케어 시장’ 선점을 위한 물밑작업이 치열하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보험 계약자뿐 아니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면서 건강관리

www.edaily.co.kr

 

728x90
반응형
LIST

 

이스라엘 AI 의료 기술 스타트업 비나.AI(Binah.AI·이하 비나)가 영상으로 건강 상태를 추적하는 헬스 모니터링 앱을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비나는 즉시 사용 가능한 건강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해 이번 CES2021에 데뷔할 예정이다.

비나가 개발한 이 앱은 얼굴의 윗볼을 촬영해 생체 신호를 추출하고 AI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환자를 진단한다. 심박수, 산소 포화도, 정신적 스트레스 등 다양한 인체의 활력 징후를 측정할 수 있다.

 

비접촉 진단을 위해 카메라를 활용해 원격광용적맥파(RPPG·Remote Photoplethysmographic) 진단을 한다. 광용적맥파란 빛을 활용해, 혈액이 심장에서 물결 모양을 이루며 전파되는 모습을 진단하는 것. 피부에서 반사되는 적색, 녹색, 청색 빛의 변화를 측정하는 식이다. 얼굴이 아닌 손가락을 스마트폰 후면 카메라에 대는 방법으로도 광용적맥파 진단이 가능하다.

비나측은 이러한 신호 처리 방식은 95%에서 98% 사이의 의료장비 수준의 정확도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728x90
반응형
LIST

 

구글이 스마트폰 카메라로 심박수와 호흡수를 측정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자사 스마트폰 시리즈 ‘픽셀’에 카메라로 심박수와 분당 호흡수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이번 달 중 추가할 예정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를 감지하면 AI가 건강 정보를 계산한다.

 

호흡수의 경우 전면 카메라에 머리부터 가슴까지 상체를 인식시키면 흉부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장면을 추적해 AI가 분당 호흡수를 측정한다. 구글헬스 잭 포(Jack Po) 제품 매니저는 “의사는 환자의 가슴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모습을 보고 호흡수를 계산한다”.

 

심박수의 경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한다. 후면 카메라에 손가락 끝을 비추면 혈액이 흐르는 양을 측정하는 ‘맥박산소 측정’법을 적용했다.

구글헬스 슈택 페이텔(Shwetak Patel) 기술 이사는 “심장이 뛰면 손가락 끝으로 흐르는 혈액 양이 변하는 원리를 적용했다”라며 “스마트폰 카메라와 컴퓨터비전 알고리즘 발전으로 눈에 띄지 않는 인체 변화도 측정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4일 구글헬스가 발표한 초기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분당 호흡수는 평균 1회 이내 아주 적은 오차범위를 갖는다. 심박수 측정은 98% 정확도를 갖는다. 페이텔 이사는 건강 정보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다양한 연령, 성별, 피부 톤, 건강 상태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검증을 거쳤다”라고 말했다. 잭 포 매니저는 “건강 정보 모니터링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라며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러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건강 정보 모니터링 기능을 스마트폰에 통합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말했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