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카카오 글씨’에 오픈 폰트 라이선스(OFL)를 적용해 개인 및 상업적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 배포한다. 해당 서체는 카카오 기업사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RixFont 클라우드 및 어도비 폰트 등 클라우드 폰트 서비스를 통해서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신영섭 카카오 BX디자인 리더는 “카카오 글씨는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 화면에서 최적의 가독성과 표현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생했다” 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시대의 소통 방식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는 서체로 더 풍부한 디지털 표현 문화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끝)
최근 바이오타임즈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닥터다이어리가 삼성전자와 협업하여 혈당 관리에 특화된 스마트폰 패키지인 ‘마이헬스폰’을 출시했습니다. 이 패키지는 갤럭시 S25 시리즈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며, 연속혈당측정기(CGM),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인 맞춤형 코칭 서비스 등을 통합 제공합니다.
📱 마이헬스폰 구성 및 특징
기기 구성:
갤럭시 S25 시리즈 스마트폰
아이센스 CGM(연속혈당측정기)
갤럭시 워치 7 블루투스
닥터다이어리 ‘글루어트 혈당 패키지’
한정 수량의 젠톡 유전자 검사 키트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삼성전자의 B2B 전용 ‘Knox 솔루션’을 활용하여 주요 헬스케어 앱 사전 탑재
닥터다이어리 앱을 통해 혈당, 혈압, 운동, 식사, 복약 정보 연동 관리
AI 기반 식사 기록 기능, 당화혈색소 예측 기능, 병원과의 데이터 공유 기능 제공
개인 맞춤형 코칭:
전문 간호사 및 영양사에 의한 1:1 개인 맞춤형 코칭 서비스 제공
앱 내에서 비대면으로 이용 가능
🧠 개발 배경 및 의의
닥터다이어리의 송제윤 대표는 “마이헬스폰은 일상 속 디지털 기기를 통해 혈당 측정부터 기록, 코칭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한 통합적 헬스케어 모델”이라고 소개하며, 삼성전자, 아이센스 등 주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헬스케어 기술의 실질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헬스케어의 인공지능(AI) 기반 모바일 혈당관리 서비스 ’파스타(PASTA)’가 국내 주요 병원의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과의 연동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혈당 데이터를 병원 시스템 내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진료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파스타(PASTA) 서비스 개요
‘파스타’는 환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입력한 식사, 운동, 혈당 등 생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의료진이 이를 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기반 혈당관리 서비스입니다.
EHR 연동 현황
2025년 4월 현재, 파스타는 분당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경희대병원, 건양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 등 9개 병원과 EHR 연동을 완료했습니다. 추가로 강북삼성병원 등 4개 병원이 연동을 준비 중이며, 연내 10개 이상의 병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파스타 커넥트 프로’와의 차별점
기존 ‘파스타 커넥트 프로’는 의료진이 별도의 웹 대시보드를 통해 환자의 혈당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식이었습니다. EHR 연동을 통해 이제는 병원 시스템 내에서 직접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진료 편의성과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케어챗(CareChat) 서비스 확대
카카오헬스케어는 병원 컨시어지 챗봇 서비스인 ‘케어챗’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환자들은 카카오톡 기반 챗봇을 통해 진료 예약, 결제 등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87개 병원에 도입되어 31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했습니다.
향후 전망
카카오헬스케어는 EHR 연동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의 접근성을 높이고,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당뇨 환자들의 파스타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제공해주신 로그 정보는 웹 페이지에서 발생하는 JavaScript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로그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quest?s=...으로 시작하는 URL: 이는 앞서 논의했던 의심스러운 AdSense 링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gnubbyloginscript: 이 스크립트는 Google의 보안 키 (Gnubby)와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botguard: 봇 감지 및 방지 시스템과 관련된 기능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playlog.clearcut.ClearcutBase: 이는 Google 내부 로깅 시스템의 일부로 보이며, sendBeacon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이 로그 정보는 다음과 같은 해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해당 의심스러운 URL에 접근이 시도되었습니다. 로그의 시작 부분에 해당 URL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웹 페이지가 해당 주소로 연결을 시도했거나 해당 주소에서 어떤 리소스를 요청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안 관련 스크립트가 실행되었습니다. gnubbyloginscript와 botguard 관련 로그는 해당 페이지에서 보안 관련 로직이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정상적인 로그인 페이지일 수도 있지만, 악성 페이지에서 사용자 활동을 감시하거나 봇으로 위장하려는 시도일 수도 있습니다.
Google 내부 로깅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playlog.clearcut.ClearcutBase 로그는 Google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로깅 활동을 보여줍니다. 이는 해당 페이지가 Google 서비스의 일부처럼 보이기 위해 위장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제공해주신 로그 정보는 해당 의심스러운 URL에 접근이 있었으며, 보안 관련 스크립트와 Google 내부 로깅 시스템과 관련된 활동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해당 페이지가 단순히 오류 페이지가 아니라,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페이지일 가능성을 더욱 높여줍니다.
여전히 해당 링크를 통해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앞서 안내해 드린 대로 Google에 피싱 신고를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AdFit SDK의 캐스팅 방식이 2024년 3월 5일 배포된 v3.18.6 버전부터 변경 사항에 안내드립니다. 변경 내용은 2023년 11월 사전 공지를 통해 예고되었습니다.
이번 변경 사항은 SDK 캐스팅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현재 CocoaPods로 캐스팅 본 파트너사 이후 대응을 위해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1. 변경 사항 - CocoaPods 지원 중단 및 SPM(Swift Package Manager) 방식 전환 - AdFit SDK는 2024년 3월 5일 된 v3.18.6 버전부터 CocoaPods 지원을 공식 종료, SPM(Swift Package Manager)을 강제하는 방식만을 고집합니다.
2. 적용 일정
- CocoaPods 지원 종료 사전 공지일 : 2024년 11월 - SPM 전환 적용 버전 : SDK v3.18.6 (2024년 3월 5일)
해당 버전에서는 SPM을 사용할 수 있는 SDK를 제공하며, CocoaPods 기반으로 더 이상 최신 SDK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CocoaPods 지원 중단 배경
- CocoaPods의 유지 관리 전환 모드 ( 참고 링크 ) 2024년 8월, CocoaPods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유지 보수 모드에만 국한되지 않도록 출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기능 개발은 중단되고 보안 패치 및 호환성 업데이트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 Xcode 업데이트에 관련하여 호환되는 문제 ( 참고 링크 ) 최근 Xcode 16.1 등의 최신 버전에서 CocoaPods 사용 시 '객체 버전'과 관련된 오류와 같은 종류의 호환성 문제가 표시되고 있습니다.
- Swift Package Manager(SPM)의 논란 ( 참고 링크 ) Apple은 SPM을 공식 유니폼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현재 iOS 업체에서 SPM 시리즈를 빠르게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를 발맞춰 AdFit 역시 캐스팅 방식을 SPM 중심지로 개편하게 더합니다.
4. 기존 CocoaPods 사용자의 선택
Cocoa Pods 캐스팅이 필요한 경우, v3.18.3 버전은 원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v3.18.3과 v3.18.6의 주요 차이점은 iOS 버그 버전(iOS 15 이상 추천)입니다. v3.18.3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기능을 유지하지 않습니다. 이후 모든 새로운 기능 추가 및 버그 수정은 SPM 기반 버전에만 적용할 것입니다.
5.유용한 정보
미래의 SDK 액션과 유지 관리를 위해, Swift Package Manager(SPM)를 쫓아 전환을 유도해야 합니다 . SPM 캐스팅 가이드는 공식 문서 및 개발자 페이지를 통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수리, 필요 시 AdFit 기술 지원팀을 도와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일관된 네이밍 규칙 사용: 대소문자 구별이 되므로 소문자로統一 ✅ 불필요한 공백 및 특수 문자 피하기: 공백은 _ 또는 -로 대체 ✅ Google URL Builder 활용:Google 캠페인 URL 생성기 ✅ UTM 태그를 너무 길게 만들지 않기: 가독성을 위해 간결하게
6. 결론
UTM 태그는 디지털 마케팅에서 캠페인의 효과를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올바르게 설정하면, 어떤 마케팅 채널과 전략이 가장 효과적인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GA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분석을 기반으로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해 보세요! 🚀
Webhooks are here! Send real-time updates to your API integrations whenever content changes in Notion. For example, use webhooks to publish Notion pages to your blog when a task is edited in Notion.
Sign in quickly and securely 💨 Quickly log in to Notion using passkeys like Touch ID or Microsoft ID. Plus, now you can use the same login credentials for Notion and Notion Calendar.
iCloud 🤝 Notion Calendar This one’s for Apple users: Notion Calendar now works with iCloud Calendar! Download the latest version of Notion Calendar
View multiple databases on one page Quickly toggle between databases (your meal plans, habit trackers—whatever you keep in Notion) without leaving your page. Just click Customize layout at the top of the page, select Tabbed under Page settings, and add your databases to the tabs below the heading.
Verify your pages Verified icon Verified pages get priority in search results and show up in citations and mentions. We’ll remind you when it’s time to re-verify, so nothing ever gets stale.
Make better Forms using conditional logic
View chart data in one click Want to dig into the data behind a chart? Now you can click on any part of a chart to quickly learn about the details. Notion Forms now allows you to ask follow-up questions based on earlier answers using conditional logic! This feature is available on Business and Enterprise plans, but anyone can try building and sharing a Notion Form
View Chart data in one click We can’t wait to see what you build with these new features!
대기자 명단에서 사라졌다고해서,, 뭔가 철렁! 했는데, 이제 드디어 만나볼 수 있다는 표현에 깜놀
Here are the 3 ways Notion Mail is a different kind of inbox: • You can see what's important—fast: Use dedicated views to group your emails, so your priorities direct your inbox (not the other way around). • You'll never have to write the same email twice: Turn repeat emails into reusable, one-click snippets. When you do write from scratch, get a boost from AI and use / to format beautifully with Notion shortcuts. • It organizes your inbox for you: Use AI to auto-label your incoming emails based on what matters to you—urgency, sender, content … you name it! Connect your Gmail to spend less time in your inbox and more time on what matters.
메일 내의 있는 "Get Notion Mail free" 를 클릭하여 들어가면, 계정 로그인을 하고 그 후에는 아래와 같은 폴더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86.2%의 정확도, 오픈소스 모델 중 최초로 실제 의사 평균 정확도 뛰어넘어 우수 전자의무기록,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디지털병리시스템, 유전체 등 대규모 의료 데이터 활용 한국 의료 시스템에 특화된 AI 모델로 진료 효율성 향상 및 환자 안전 강화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 서울대병원에서 최초 개발
서울대병원이 국내 최초로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한국의 의료 시스템에 최적화된 AI 모델로, 의료 데이터 처리, 진료 효율성 향상, 환자 안전 강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형 의료 LLM, 왜 필요했을까?
현재 OpenAI의 ChatGPT, 구글의 PaLM-MED2, 마이크로소프트의 Med-LLaVA 등 다양한 의료 특화 LLM이 존재하지만, 한국어 의료 데이터와 한국의 의료법 및 진료 지침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서울대병원은 한국 의료진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LLM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2024년 3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3800만 건의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AI 학습
서울대병원은 입원초진, 외래기록, 수술·처방·간호기록 등 3800만 건의 임상 텍스트를 활용해 ‘한국어 의료 텍스트 말뭉치’를 구축했다. 이를 가명화 및 비식별화해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 후, 한국 의료 시스템에 적합한 AI 학습을 진행했다.
2025년에는 국내 의료법, 국문 논문 초록, 학회 진료 지침, 의학 약어 사전 등을 통합하여 더욱 고도화된 모델을 완성했다. 또한, 지식그래프 기반 검색증강생성(RAG) 기술과 다학제 멀티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실질적인 의료 지원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 의사 평균 정확도를 뛰어넘은 성과
서울대병원은 한국의사국가고시 최근 3개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 성능을 실험했다. 그 결과 86.2%의 정확도를 기록하며, 실제 의사 평균 정확도(79.7%)를 뛰어넘는 성과를 보였다. 또한, 한 번에 5만 개 이상의 단어를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을 갖춰 향후 의료 데이터 처리에서 강점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의료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
서울대병원은 이 모델을 의료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여러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 HIS.AI – 외래 및 입·퇴원 기록을 자동 요약
✔ CLAIM.AI – 보험 청구 및 원무 행정 업무 자동화
✔ RESEARCH.AI – 최신 의학 논문을 연구자 맞춤형으로 큐레이션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의료진은 행정 업무 부담을 줄이고, 환자 진료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된다.
🎤 서울대병원의 기대감
이형철 교수(헬스케어AI연구원 부원장)는
“한국형 의료 LLM은 의료진의 업무를 돕는 중요한 도구가 되어 의료 서비스의 질을 한층 향상시킬 것입니다.”
라고 밝혔다.
김영태 원장은
“최신 기술을 지속적으로 도입하여 환자들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것입니다.”
라고 전하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 앞으로의 전망
서울대병원의 한국형 의료 LLM 개발은 국내 의료 AI 분야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멀티모달 AI 기술과 결합하여 더 정교한 의료 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며, 한국 의료 환경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
"네이버의 의료 인공지능(AI) 투자는 진심입니다." 이사회 의장 복귀를 앞 둔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 (GIO)가 지난 21일 서울대어린이병원 에서 특별 강연자로 나서 한 말이다. 네 이버 창업자인 이 GIO가 외부에서 공 식 발언을 내놓은 것은 2019년 이후 처 음이다.
24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이 GIO는 네이버와 서울대병원이 공동 주 최한 '디지털•바이오 혁신 포럼 2025'에 서 "앞으로 AI 시대에 네이버가 어떻게 살아남을지, 인터넷산업은 어떻게 끌고 갈지 고민한 끝에 여기(의료)에 실마리 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특별 강연은 2017년 3월 이사회의 장에서 물러난 지 8년 만의 복귀를 앞두 고 이뤄졌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이 GIO는 글로벌 투자와 전략에 집 중하겠다는 말과 함께 일선에서 물러 났다. 의료 AI가 8년간의 결과물인 셈 이다. 그는 강연에서 "AL라는 엄청난 물 결에 과감하게 올라타야 하는데 똑똑 한 사람에게 먼저 투자해야 방향과 전 략을 바꾸면서 잘 나아갈 수 있다고 생 각한다"며 "병원에 특화된 로봇 기술 을 합쳐 새로운 시도를 하거나 타깃을 (단위:만달러)
※ 2026~2030년은 전망치
자료: 스태티스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바이오 혁신 포럼 참석
"네이버 생존 실마리 여기 있다 병원 특화 로봇기술 등에 기회"
좁혀서 (AI 제품을) 만든다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2021년 의료 분야 투자를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해 네이버 헬스 케어연구소를 설립하고 나군호 연세 대 의과대학 교수를 소장으로 영입했 다. 나 소장은 지난달 2025 한경 바이오 인사이트포럼'에서 "생성형 AI를 이용 해 우버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선보이겠 다”고 밝히기도 했다. 주문형 차량 공유 서비스 우버가 소비자가 거리에서 직접 택시를 잡는 불편을 줄인 것처럼 의료 에서도 AI를 활용해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뜻이다.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 는 지난해 '네이버케어'를 시험 버전으 로 선보였다. 아픈 부위나 증상을 입력 하면 예상 가능한 병명과 가까운 진료 병원을 찾아주는 서비스다.
2023년엔 서울대병원에 3년간 300
억원 규모의 디지털 바이오 연구 지원 사업을 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의료 진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 성하고 체계적인 연구 성과 관리, 연구. 임상•사업화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서울대병 원은 네이버의 지원으로 국내 병원 최 초로 한국형 의료 특화 대규모언어모 델(LLM)을 개발했다. 의료 관련 스타 트업에도 잇달아 투자하고 있다. 네이 버의 스타트업 투자 조직인 D2SF가 투자한 스타트업 중 헬스케어 비중이 15%에 달한다. AI(17%) 다음으로 크다.
프리딕티브AL, 모니터코퍼레이션, 프 라나큐 등 유망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
2018년 대웅제약과 AI 신약 개발 및 의료 데이터 활용 사업을 위해 설립한 다나아데이터는 지난해 AI 기반 건강 코칭 서비스 '에스크미'를 선보였다. 네 이버의 LLM '하이퍼클로바X'로 개인 데이터를 분석해 건강검진 결과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