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M 태그(Urchin Tracking Module)는 웹사이트 트래픽의 출처를 분석하고, 어떤 마케팅 채널이 효과적인지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Google Analytics(GA)와 같은 웹 분석 도구에서 캠페인 성과를 측정할 때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1. UTM 태그란?

UTM 태그는 특정 URL에 추가되는 매개변수로, 사용자가 어떤 경로를 통해 웹사이트에 방문했는지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주로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에서 활용되며, 광고, 이메일, 소셜미디어 등의 채널별 성과를 측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UTM 태그를 활용하면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방문자가 어떤 채널(예: Facebook, 네이버 블로그)에서 유입되었는지
  • 어떤 캠페인(예: 여름 프로모션, 신제품 출시)이 효과적인지
  • 어떤 광고 소재(예: A/B 테스트 배너 중 어떤 것)가 성과가 좋은지

2. 주요 UTM 태그의 종류 및 예시

📌 1) utm_source (트래픽 출처)

설명: 방문자가 유입된 플랫폼이나 웹사이트를 식별합니다.

예시:

  • utm_source=google → 구글 검색에서 유입
  • utm_source=naver → 네이버에서 유입
  • utm_source=facebook → 페이스북에서 유입
  • utm_source=email → 이메일 캠페인에서 유입

📌 2) utm_medium (트래픽 유형)

설명: 트래픽의 유형을 나타냅니다.

예시:

  • utm_medium=organic → 자연 검색(SEO) 유입
  • utm_medium=cpc → 유료 광고 클릭
  • utm_medium=paid_social → 유료 소셜 광고
  • utm_medium=email → 이메일 마케팅
  • utm_medium=referral → 다른 웹사이트에서의 링크 클릭

📌 3) utm_campaign (캠페인 이름)

설명: 특정 마케팅 캠페인을 식별합니다.

예시:

  • utm_campaign=spring_sale → 봄 세일 이벤트
  • utm_campaign=new_product_launch → 신제품 출시 캠페인
  • utm_campaign=brand_awareness → 브랜드 인지도 강화

📌 4) utm_content (콘텐츠 구분)

설명: 동일한 캠페인 내에서 서로 다른 광고 소재나 배너를 구분합니다.

예시:

  • utm_content=header_banner → 홈페이지 상단 배너
  • utm_content=sidebar_cta → 사이드바 CTA 버튼
  • utm_content=version_a → A/B 테스트 중 A 버전

📌 5) utm_term (키워드 추적)

설명: 유료 검색 광고에서 특정 키워드를 추적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예시:

  • utm_term=best_laptop → "최고의 노트북" 검색 후 광고 클릭
  • utm_term=free_trial → "무료 체험" 검색 후 광고 클릭

3. UTM 태그 활용 예시

📌 페이스북 유료 광고에서 신제품 홍보 배너 클릭

https://clover7-webnote.tistory.com?utm_source=facebook&utm_medium=paid_social&utm_campaign=new_product_launch&utm_content=banner_v1

📌 네이버 카페에서 배너 클릭

https://clover7-webnote.tistory.com?utm_source=navercafe&utm_medium=paid_social&utm_campaign=open_event&utm_content=amwinner_banner_v1

📌 구글 검색 광고에서 특정 키워드 클릭

https://clover7-webnote.tistory.com?utm_source=google&utm_medium=cpc&utm_campaign=blackfriday_sale&utm_term=best_laptop

4. GA에서 UTM 태그 데이터 확인 방법

  1. Google Analytics(GA) 접속
  2. 좌측 메뉴에서 획득 > 트래픽 획득 클릭
  3. 세션 소스/매체 또는 캠페인 항목에서 유입 경로 분석
  4. 원하는 UTM 파라미터로 필터링하여 성과 비교

5. 효과적인 UTM 태그 활용 팁

일관된 네이밍 규칙 사용: 대소문자 구별이 되므로 소문자로統一
불필요한 공백 및 특수 문자 피하기: 공백은 _ 또는 -로 대체
Google URL Builder 활용: Google 캠페인 URL 생성기
UTM 태그를 너무 길게 만들지 않기: 가독성을 위해 간결하게


6. 결론

UTM 태그는 디지털 마케팅에서 캠페인의 효과를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올바르게 설정하면, 어떤 마케팅 채널과 전략이 가장 효과적인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GA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분석을 기반으로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해 보세요! 🚀

728x90
반응형
LIST

 

 

GA 리포트를 활용해 네이버·카카오 지도, 검색, SNS 등 다양한 채널의 유입 데이터를 분석 🚀

 

 

📌 1. Direct (직접 유입)

(direct)

주소창에 직접 입력하거나, 북마크를 통해 방문

rel="noreferrer"가 설정된 링크를 클릭한 경우도 포함될 수 있음

 

📌 2. Organic Search (자연 검색)

 

출처 설명
naver 네이버 검색 결과에서 직접 유입
google 구글 검색 결과에서 유입
m.search.naver.com 모바일 네이버 검색에서 유입
naver.com 네이버 검색 결과 또는 특정 네이버 서비스에서 유입
bing 마이크로소프트 빙 검색에서 유입
m.search.daum.net 모바일 다음 검색에서 유입
place.admintool.daum.net 다음의 비즈니스 관리 페이지(장소 등록)에서 유입

 

🔍 의미

이 부분은 검색엔진을 통한 자연 유입이며, SEO(검색 최적화) 성과를 평가할 때 활용 가능

 

📌 3. Referral (추천 트래픽)

 

출처 설명
pcmap.place.naver.com 네이버 지도(PC 버전)에서 유입
m.place.naver.com 네이버 지도(모바일 버전)에서 유입
link.naver.com 네이버 내부 링크(블로그, 카페 등)에서 유입
네이버 앱에서 공유하기 할 때 생성하는 링크 (참고)
네이버 단축 URL로 공유가 되고, 실제 해당 단축 링크가 link.naver.com으로 노출

 

🔍 의미

네이버 지도에서의 유입이 많음 → 오프라인 방문과 연계 가능 

 

📌 4. Organic Social (소셜 미디어)

출처 설명
center-pf.kakao.com 카카오톡 비즈니스 채널 페이지에서 유입
facebook.com 페이스북에서 유입
l.instagram.com 인스타그램에서 유입 (링크 단축 경로)
m.cafe.naver.com 네이버 카페 (모바일)에서 유입
map.kakao.com 카카오 지도에서 유입
place.map.kakao.com 카카오 지도 내 장소 상세 페이지에서 유입

 

🔍 의미

SNS를 통한 자연 유입(유료 광고 없이)

center-pf.kakao.com → 카카오톡 채널 활동 중요

m.cafe.naver.com → 네이버 카페 활동의 효과 분석 가능

 

📌 5. Unassigned (미분류)

(not set)

GA에서 출처를 식별하지 못한 경우

 

🔍 의미

UTM 태그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발생 가능

특정 사이트가 rel="noreferrer"로 설정된 경우도 포함될 수 있음

 

🧐 결론 및 추천 액션

1. 네이버 지도 & 카카오 지도 유입 증가

pcmap.place.naver.com, m.place.naver.com, map.kakao.com 등의 트래픽 분석 필요

→ 지도 서비스 내 정보 업데이트 및 리뷰 관리 강화 추천

 

2. 네이버 카페 & 카카오 채널 활용

m.cafe.naver.com, center-pf.kakao.com 트래픽이 상당함

→ 카페 게시글 & 카카오 채널 컨텐츠 업로드 주기적으로 진행

 

3. Referral 사이트 추가 분석

→ 정체가 불분명한 사이트 확인 필요

→ 긍정적인 트래픽이면 협업 검토, 부정적이면 차단 고려

 

4. UTM 태그 확인 및 추가 설정 필요

(not set) 발생 원인을 찾고, UTM 태그를 활용하여 출처 추적 강화

 

 

728x90
반응형
LIST


카카오 애드핏 연동하고 나면 매일매일 얼마 벌었는지 궁금하자나? 마침 이런 서비스가 있다구!

 

 

1. 카카오 애드핏으로 이동  👉  https://adfit.kakao.com/dashboard

 

카카오계정

 

accounts.kakao.com

 

 

2. 대시보드 

제일 하단에 "애드핏 챗봇 이용해 보기" 클릭 , 그럼 채널추가 팝업이 뜨면서 추가추가!! 

 

 

 

3. 선택된 계정 알림 설정 

 

알림 설정에 들어가면 이메일은 기본, 카카오톡을 체크, 챗봇 구독 - 일일 리포트 구독! 체크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저장" 

 

 

 



그러고 나면 다음날 아침부터 나에게 리포트가 하나 배달이 된다구! 

내 비서가 생긴 느낌.. (돈 많이 벌자..22) 

 

 

 

애드핏 연동하기가 궁금하다면 여기  👉 https://clover7-webnote.tistory.com/320

 

Daum ADfit 이 Kakao ADfit으로!

Tistory에서 Daum ADfit을 적용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Kakao ADFit 으로 변경되어 이관작업이 진행되었다고 한다. 나도 전환으로 신청! 카카오가 점점 다음(Daum)의 흔적들을 지우고 있는 것 같다.   

clover7-webnote.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

 

 

 

지금 접속한 환경에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문의중......

728x90
반응형
LIST

 

 

 

티스토리 블로그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없습니다." 문구 계속 나오면서 연동이 안된다. 

몇 개월 이상태.. ㅎㅎㅎ 결국 고객센터에 문의한 답변.. 

 

> 내부에선 정상적으로 기능이 작동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번거로우시겠지만 연동 해제 후 재 연동 부탁드립니다.

 

해제하면, "해제 실패되었습니다" 나오는데, 한번 더 트라이 해보면 해제되고. 다시 연동하면 정상적으로 연동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광고 영역을 노출 시킬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 

 

 

[Tenping] 티스토리 블로그 텐핑(Tenping) 연동하기

티스토리에서 템핑 연동을 해보자!! 관리 >   연동이 되면 이렇게 "수익"에 관리할 수 있는 항목들이 뜬다.   상세보기를 들어가보자.   노출 시키려고 하는 영역을 선택해주면 끝! :)

clover7-webnote.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

 

 

 

이건 어느 광고 마케팅 스크립트 소스면 적용 가능한 방법이다. 

 

 

나 같은 경우는 "Temping AD" 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드바의 HTML 배너 출력을 활용하자. 

 

 

텐핑의 소문박스 < 를 복사해서, HTML 박스에 넣고 원하는 곳에 위치시키면 끝. 

 

 

728x90
반응형
LIST

 

 

 

티스토리에서 템핑 연동을 해보자!! 

 

 



연동이 되면 이렇게 "수익"에 관리할 수 있는 항목들이 뜬다. 

 

 

상세보기를 들어가보자. 

 

 

노출 시키려고 하는 영역을 선택해주면 끝! :) 

 

 

728x90
반응형
LIST

 


2025년 3월에 온라인 도박의 홍보가 허용되는 국가 외 지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에게 온라인 도박 콘텐츠가 표시될 때 제한사항이 적용되도록 온라인 도박에 관한 Google 게시자 대상 제한사항이 업데이트됩니다. 허용되는 국가는 대한민국, 그리스, 네덜란드, 독일, 멕시코, 미국, 브라질,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콜롬비아, 튀르키예, 프랑스, 필리핀입니다.

 

정책 업데이트에 대해 알려드리기 위한 사항으로, 지금은 별도의 조치를 취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Online gambling

Is content that:

  • enables users to participate in online, real-money gambling or any internet-based game where money or other items of value are paid or wagered in exchange for the opportunity to win real money or prizes based on the outcome of the game.Examples: Online casinos or bookmakers, online lottery ticket or scratch card purchase, online sports betting, aggregator or affiliate sites that promote online gambling pages

For subtitles in your language, turn on YouTube captions. Select the settings icon 

 at the bottom of the video player, then select "Subtitles/CC" and choose your language.

In the images below, the examples on the right show what online gambling content might be. If ads appear on this content, they will have restricted ad demand. However, the examples on the left show educational material about online gambling content where ads can appear unrestricted. 


https://support.google.com/publisherpolicies/answer/10437963?sjid=18307043620096127754-NA

 

 

온라인 도박 - Publisher Policies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728x90
반응형
LIST

 

 

애드센스 보고서의 세션 관련 측정항목에 관한 변경사항

 

 

 

애드센스 보고와 관련된 변경사항이 예정되어 있어 안내해 드립니다.

가장 관련성 높고 영향력 있는 측정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25년 9월부터 애드센스에서 세션 관련 측정항목의 사용을 중단할 예정입니다.

 

| 변경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데이터에 따르면 세션 관련 측정항목은 사용 빈도가 낮으며 애드센스 실적을 최적화하기 위한 통계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 어떤 측정항목이 영향을 받나요?

이번 변경사항으로 인해 '광고 세션', '광고 세션 RPM'과 같이 광고 세션에 의존하는 측정항목이 영향을 받습니다.

참고로 페이지 조회, 검색어, 노출수 또는 클릭수를 바탕으로 하는 측정항목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대체 솔루션

세션 수준의 종합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고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Google 애널리틱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잠재고객과 웹사이트 트래픽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광범위한 측정항목, 측정기준, 세그먼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을 애드센스와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 향후 주력할 부분

이처럼 활용도가 낮은 측정항목에 대한 지원을 종료함으로써 핵심적인 애드센스 측정항목을 개선하고 가치와 영향력이 더 높은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수 있습니다. 보고 기능이 변경되면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6개월의 전환 기간을 도입합니다. 따라서 애드센스에서 이 측정항목에 대한 지원이 중단되기 전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세션 관련 통계를 찾아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적절한 표준 태그가 있는 대체 페이지

이 페이지는 다른 페이지의 대체  페이지로 표시됩니다
(즉, 데스크톱 표준이 있는 AMP 페이지 또는 데스크톱 표준의 모바일 버전 또는 모바일 표준의 데스크톱 버전). 이 페이지는 색인된 표준 페이지를 올바르게 가리키므로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대체 언어 페이지는 Search Console에서 감지되지 않습니다.

 

모바일 페이지에 대해 색인이 되어 있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색인 요청을 진행하자. 

 

돋보기 클릭! 

URL 검사 도구
URL 검사 보고서 및 테스트 정보
URL 검사 도구는 Google에서 색인을 생성한 특정 페이지 버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URL의 색인 생성 가능 여부를 테스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정보에는 구조화된 데이터, 동영상, 링크된 AMP, 색인 생성/색인 생성 가능 여부에 관한 세부정보가 포함됩니다.

URL 검사 도구에는 두 가지 방법으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Search Console 화면 상단에 있는 검사 검색창에 검사할 정규화된 URL을 입력합니다. URL이 현재 열려 있는 속성에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보고서에는 페이지 URL 옆에 검사  링크가 있습니다. 이 링크를 클릭하면 됩니다. URL 위로 마우스를 가져가야 이 옵션이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몇 분 후 색인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Tistory에서 Daum ADfit을 적용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Kakao ADFit 으로 변경되어 이관작업이 진행되었다고 한다. 

나도 전환으로 신청! 카카오가 점점 다음(Daum)의 흔적들을 지우고 있는 것 같다. 

 

 

이관한다고 선택하고, 본인인증하고 약관확인하고 완료했더니 전환은 완료되어서 들어가봤지만, ADfit화면은 다음때 DaumFit그대로..

아직은 전체 리뉴얼 하기에는 벅차니,,, 회원이관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하려고 하는 것같다. 

 

로그인 한김에 적립금 봤는데.. 얼마 되질 않는다.. 하하하핫..

 

728x90
반응형
LIST

 

2019 9월부터 Google 게시자 제품(애드센스, AdMob, Ad Manager) 전반에서 일부 콘텐츠 정책이 변경된다고 한다. 

이번 정책 변경이 당장 게시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지만, 다음 달부터 변경되니 숙지하고 있으라는 일종의 메일이긴 하지만 최근 유투브도 그렇고 구글이 본인들의 플랫폼에서 일어나는 수익창출과 관련하여 필터링을 시작한 것 같다. 메일 내용을 보면 당연하게 규제되었어야 하는 항목들로 보이지만 여지껏 그러지 않았다는 것에 의문이 들긴 한다. 

변경 이유

게시자가 가장 많이 요청하는 사항 하나는 정책을 단순화하고 간소화해 달라는 것입니다. 대다수의 게시자가 Google 여러 게시자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Google에서는 사용하는 제품에 상관없이 Google 정책을 이해하고 준수하는 방법과 정책이 게시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고 간편하게 파악할 있게 하려고 합니다

변경 사유

Google 게시자 제품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없는 콘텐츠의 유형을 설명하는 Google 게시자 정책불법 콘텐츠, 아동 성적 학대 소아성애물, 음란한 콘텐츠, 가족 콘텐츠에 포함된 성인 대상 주제의 내용, 지적 재산권 남용, 멸종위기 동식물, 위험하거나 경멸적인 콘텐츠, 부정 행위 조장,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콘텐츠, 악성 또는 원치 않는 소프트웨어, 국제 매매혼 알선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제한된 광고 소스가 게재되는 콘텐츠의 유형을 설명하는 Google 게시자 제한사항성적인 콘텐츠, 충격적인 콘텐츠, 폭발물, 총기, 총기 부품 관련 제품, 기타 무기류, 담배, 기분전환용 약물, 주류 판매 오용, 온라인 도박, 처방의약품, 승인되지 않는 의약품 보충식품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Google Ads(이전의 애드워즈)에서는 앞으로도 이러한 제한된 콘텐츠에 광고를 게재하지 않을 것이며, 다른 광고 제품의 광고만 게재되거나 게시자와 광고주 간의 직접 거래를 통해서만 광고가 게재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맞춤 측정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은 사용자가 직접 만든다는 점만 빼면 애널리틱스 계정의 기본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과 동일합니다. 맞춤 측정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을 사용하면 애널리틱스에서 자동으로 추적하지 않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맞춤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애널리틱스 계정의 속성 수준에서 설정됩니다. 맞춤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을 만들거나 수정하려면 속성 수정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맞춤 측정기준이나 측정항목은 2단계 과정을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속성에서 맞춤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을 설정합니다. 그런 다음 추적 코드를 수정합니다. 아래 단계를 순서대로 완료해야 합니다.

이 도움말에 나와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맞춤 측정기준 설정하기

  1. Google 애널리틱스에 로그인합니다.
  2. 관리를 클릭한 후 맞춤 측정기준을 추가할 속성으로 이동합니다.
  3. 속성 열에서 맞춤 정의 > 맞춤 측정기준을 클릭합니다.
  4. 새 맞춤 측정기준을 클릭합니다.
  5. 이름을 추가합니다.
    이름으로 임의의 문자열을 사용해도 되지만, 보고서에서 다른 맞춤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과 혼동되지 않도록 고유한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범위를 선택합니다.
    조회, 세션, 사용자 또는 제품 수준의 추적을 선택합니다. 범위와 맞춤 측정기준이 Google 개발자 가이드에서 처리되는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7.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고 보고서에서 측정기준을 바로 보려면 활성 확인란을 선택합니다. 측정기준을 만들었지만 비활성화 상태로 두려면 이 확인란을 선택 해제합니다.
  8.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맞춤 측정항목 설정하기

  1. Google 애널리틱스에 로그인합니다.
  2. 관리를 클릭한 후 맞춤 측정항목을 추가할 속성으로 이동합니다.
  3. 속성 열에서 맞춤 정의 > 맞춤 측정항목을 클릭합니다.
  4. 새 맞춤 측정항목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이름을 추가합니다.
    이름으로 임의의 문자열을 사용해도 되지만, 보고서에서 다른 맞춤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과 혼동되지 않도록 고유한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형식 유형 드롭다운 메뉴에서 정수, 통화 또는 시간을 선택합니다.
    정수는 임의로 넣어도 됩니다. 통화 유형은 보기 설정(예: 미국 달러, 엔)과 일치하며, 금액은 10진수로 입력해야 합니다. 시간은 초 단위로 지정하지만, 보고서에는 시:분:초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7.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고 보고서에서 측정항목을 바로 보려면 활성 확인란을 선택합니다. 측정항목을 만들었지만 비활성화 상태로 두려면 이 체크박스를 선택 해제합니다.
  8.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추적 코드 수정

속성에서 맞춤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을 만든 후 추적 코드 수정도 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일정 자격을 갖춘 개발자가 수행해야 합니다. 개발자 가이드에서 환경별 도움말을 읽어보세요.

맞춤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 수정

일단 만들어진 맞춤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삭제할 수 없지만, 계정에서 이 설정으로 돌아와서 관리하고 수정할 수는 있습니다. 기존의 맞춤 측정기준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려면 사용중 체크박스의 선택을 해제하고 저장을 클릭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Google Ads에서 사용되는 클릭수와 애널리틱스에서 사용되는 세션수, 사용자 수, 접속수, 페이지뷰 수 및 순 페이지뷰 수의 차이점

애널리틱스 계정의 데이터는 여러 보고서에서 유사한 용어가 많이 사용되어 잘못 해석하기 쉽습니다. 이 도움말에는 가장 많이 질문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이 도움말에 나와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릭수 vs. 세션수

Google Ads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클릭수와 잠재고객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세션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보고서에서 클릭수 항목은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나타내고, 세션수는 사용자가 시작한 순 세션수를 나타냅니다. 두 값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1명이 광고를 여러 번 클릭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1명이 같은 세션에서 광고 하나를 여러 번 클릭하면 Google Ads에서는 이를 여러 번의 클릭으로 기록하지만, 애널리틱스에서는 각각의 페이지뷰를 세션 1회로 인식합니다. 이 현상은 사용자가 비교 구매를 하는 경우에 자주 발생합니다.
  • 사용자가 특정 광고를 클릭했다가 나중에 다른 세션 중에 북마크를 통해 클릭했던 광고의 사이트로 바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원래 세션의 추천 정보가 유지되기 때문에 한 번의 클릭에서 여러 세션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됩니다.
  •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했지만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브라우저의 중지 버튼을 눌러서 페이지가 완전히 로드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가 실행되지 않아 Google 서버로 추적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지만, Google Ads에서는 클릭이 기록됩니다.
  • Google Ads는 정확한 결제를 위해 보고서에서 무효 클릭을 자동으로 걸러냅니다. 애널리틱스 보고서에는 트래픽 관련 모든 데이터를 보고하기 위해 이러한 클릭도 웹사이트 세션수로 기록됩니다.

클릭수와 세션수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클릭수 vs. 사용자 수

Google Ads 보고서 등에서 사용되는 클릭수와 잠재고객 보고서 등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Google Ads 보고서의 클릭수 항목은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보여주며, 사용자 수는 광고를 클릭한 순 사용자 수를 보여줍니다. 두 값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1명이 광고를 여러 번 클릭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1명이 같은 세션에서 광고 하나를 여러 번 클릭한 경우 Google Ads에서는 이를 여러 번의 클릭으로 기록하지만, 애널리틱스에서는 사용자 1명으로 인식합니다. 이 현상은 사용자가 비교 구매를 하는 경우에 자주 발생합니다.
  •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했지만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브라우저의 중지 버튼을 눌러서 페이지가 완전히 로드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가 실행되지 않아 Google 서버로 추적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집계되지 않습니다. Google Ads에서는 클릭이 기록됩니다.
  • Google Ads는 정확한 결제를 위해 보고서에서 무효 클릭을 자동으로 걸러냅니다. 하지만 애널리틱스에서는 전체 트래픽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해 광고를 클릭한 사용자를 보고합니다.

세션수 vs. 사용자 수

애널리틱스는 광고주 계정의 세션수와 사용자 수를 모두 측정합니다. 세션수는 사이트의 모든 사용자가 시작한 개별 세션 수를 나타냅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한 후 30분 이상 어떤 작업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이후에 발생한 모든 작업은 새로운 세션으로 간주됩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떠났다가 30분 내에 다시 방문하면 해당 방문은 원래 세션의 일부로 기록됩니다.

언제든지 최초 세션의 방문자는 새로운 세션 및 새로운 사용자로 간주됩니다. 이 기간에 동일한 사용자가 추가로 발생시키는 세션은 추가 세션으로 집계되지만, 추가 사용자로는 집계되지 않습니다.

세션수 vs. 방문수

세션수는 세션의 첫 번째 조회와 함께 누적되기 시작하고, 접속수는 세션의 첫 번째 페이지뷰 조회와 함께 누적되기 시작합니다. 세션의 첫 번째 조회가 페이지뷰가 아니면 세션수와 방문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페이지뷰 수 vs. 순 페이지뷰 수

- 페이지뷰 : 브라우저에서 페이지가 (재)로드되는 인스턴스. 조회된 전체 페이지 수로 정의되는 측정항목.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를 탐색한 후 다시 원래 페이지로 돌아올 경우에도 새로운 페이지뷰로 기록된다.

-순페이지뷰 :  동일 세션 동안 동일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누적 페이지뷰 수, 페이지가 한 번 이상 조회된 세션수 

728x90
반응형
LIST




​페이지 RPM
1,000회 노출당 페이지 수익(RPM)은 예상 수입을 페이지 조회수로 나눈 다음 1,000을 곱한 값입니다.

페이지 RPM =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수) * 1000

25회의 페이지 조회수에 따른 예상 수입이 0.15달러라면, 페이지 RPM은 6달러가 됩니다((0.15 / 25) * 1,000).

​노출 RPM
1,000회 노출당 노출 수익(RPM)이란 1,000회 노출당 평균 수입입니다.
노출 RPM = (예상 수입 / 노출수) * 1000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