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M 태그(Urchin Tracking Module)는 웹사이트 트래픽의 출처를 분석하고, 어떤 마케팅 채널이 효과적인지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Google Analytics(GA)와 같은 웹 분석 도구에서 캠페인 성과를 측정할 때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1. UTM 태그란?

UTM 태그는 특정 URL에 추가되는 매개변수로, 사용자가 어떤 경로를 통해 웹사이트에 방문했는지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주로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에서 활용되며, 광고, 이메일, 소셜미디어 등의 채널별 성과를 측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UTM 태그를 활용하면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방문자가 어떤 채널(예: Facebook, 네이버 블로그)에서 유입되었는지
  • 어떤 캠페인(예: 여름 프로모션, 신제품 출시)이 효과적인지
  • 어떤 광고 소재(예: A/B 테스트 배너 중 어떤 것)가 성과가 좋은지

2. 주요 UTM 태그의 종류 및 예시

📌 1) utm_source (트래픽 출처)

설명: 방문자가 유입된 플랫폼이나 웹사이트를 식별합니다.

예시:

  • utm_source=google → 구글 검색에서 유입
  • utm_source=naver → 네이버에서 유입
  • utm_source=facebook → 페이스북에서 유입
  • utm_source=email → 이메일 캠페인에서 유입

📌 2) utm_medium (트래픽 유형)

설명: 트래픽의 유형을 나타냅니다.

예시:

  • utm_medium=organic → 자연 검색(SEO) 유입
  • utm_medium=cpc → 유료 광고 클릭
  • utm_medium=paid_social → 유료 소셜 광고
  • utm_medium=email → 이메일 마케팅
  • utm_medium=referral → 다른 웹사이트에서의 링크 클릭

📌 3) utm_campaign (캠페인 이름)

설명: 특정 마케팅 캠페인을 식별합니다.

예시:

  • utm_campaign=spring_sale → 봄 세일 이벤트
  • utm_campaign=new_product_launch → 신제품 출시 캠페인
  • utm_campaign=brand_awareness → 브랜드 인지도 강화

📌 4) utm_content (콘텐츠 구분)

설명: 동일한 캠페인 내에서 서로 다른 광고 소재나 배너를 구분합니다.

예시:

  • utm_content=header_banner → 홈페이지 상단 배너
  • utm_content=sidebar_cta → 사이드바 CTA 버튼
  • utm_content=version_a → A/B 테스트 중 A 버전

📌 5) utm_term (키워드 추적)

설명: 유료 검색 광고에서 특정 키워드를 추적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예시:

  • utm_term=best_laptop → "최고의 노트북" 검색 후 광고 클릭
  • utm_term=free_trial → "무료 체험" 검색 후 광고 클릭

3. UTM 태그 활용 예시

📌 페이스북 유료 광고에서 신제품 홍보 배너 클릭

https://clover7-webnote.tistory.com?utm_source=facebook&utm_medium=paid_social&utm_campaign=new_product_launch&utm_content=banner_v1

📌 네이버 카페에서 배너 클릭

https://clover7-webnote.tistory.com?utm_source=navercafe&utm_medium=paid_social&utm_campaign=open_event&utm_content=amwinner_banner_v1

📌 구글 검색 광고에서 특정 키워드 클릭

https://clover7-webnote.tistory.com?utm_source=google&utm_medium=cpc&utm_campaign=blackfriday_sale&utm_term=best_laptop

4. GA에서 UTM 태그 데이터 확인 방법

  1. Google Analytics(GA) 접속
  2. 좌측 메뉴에서 획득 > 트래픽 획득 클릭
  3. 세션 소스/매체 또는 캠페인 항목에서 유입 경로 분석
  4. 원하는 UTM 파라미터로 필터링하여 성과 비교

5. 효과적인 UTM 태그 활용 팁

일관된 네이밍 규칙 사용: 대소문자 구별이 되므로 소문자로統一
불필요한 공백 및 특수 문자 피하기: 공백은 _ 또는 -로 대체
Google URL Builder 활용: Google 캠페인 URL 생성기
UTM 태그를 너무 길게 만들지 않기: 가독성을 위해 간결하게


6. 결론

UTM 태그는 디지털 마케팅에서 캠페인의 효과를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올바르게 설정하면, 어떤 마케팅 채널과 전략이 가장 효과적인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GA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분석을 기반으로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해 보세요! 🚀

728x90
반응형
LIST

 

 

GA 리포트를 활용해 네이버·카카오 지도, 검색, SNS 등 다양한 채널의 유입 데이터를 분석 🚀

 

 

📌 1. Direct (직접 유입)

(direct)

주소창에 직접 입력하거나, 북마크를 통해 방문

rel="noreferrer"가 설정된 링크를 클릭한 경우도 포함될 수 있음

 

📌 2. Organic Search (자연 검색)

 

출처 설명
naver 네이버 검색 결과에서 직접 유입
google 구글 검색 결과에서 유입
m.search.naver.com 모바일 네이버 검색에서 유입
naver.com 네이버 검색 결과 또는 특정 네이버 서비스에서 유입
bing 마이크로소프트 빙 검색에서 유입
m.search.daum.net 모바일 다음 검색에서 유입
place.admintool.daum.net 다음의 비즈니스 관리 페이지(장소 등록)에서 유입

 

🔍 의미

이 부분은 검색엔진을 통한 자연 유입이며, SEO(검색 최적화) 성과를 평가할 때 활용 가능

 

📌 3. Referral (추천 트래픽)

 

출처 설명
pcmap.place.naver.com 네이버 지도(PC 버전)에서 유입
m.place.naver.com 네이버 지도(모바일 버전)에서 유입
link.naver.com 네이버 내부 링크(블로그, 카페 등)에서 유입
네이버 앱에서 공유하기 할 때 생성하는 링크 (참고)
네이버 단축 URL로 공유가 되고, 실제 해당 단축 링크가 link.naver.com으로 노출

 

🔍 의미

네이버 지도에서의 유입이 많음 → 오프라인 방문과 연계 가능 

 

📌 4. Organic Social (소셜 미디어)

출처 설명
center-pf.kakao.com 카카오톡 비즈니스 채널 페이지에서 유입
facebook.com 페이스북에서 유입
l.instagram.com 인스타그램에서 유입 (링크 단축 경로)
m.cafe.naver.com 네이버 카페 (모바일)에서 유입
map.kakao.com 카카오 지도에서 유입
place.map.kakao.com 카카오 지도 내 장소 상세 페이지에서 유입

 

🔍 의미

SNS를 통한 자연 유입(유료 광고 없이)

center-pf.kakao.com → 카카오톡 채널 활동 중요

m.cafe.naver.com → 네이버 카페 활동의 효과 분석 가능

 

📌 5. Unassigned (미분류)

(not set)

GA에서 출처를 식별하지 못한 경우

 

🔍 의미

UTM 태그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발생 가능

특정 사이트가 rel="noreferrer"로 설정된 경우도 포함될 수 있음

 

🧐 결론 및 추천 액션

1. 네이버 지도 & 카카오 지도 유입 증가

pcmap.place.naver.com, m.place.naver.com, map.kakao.com 등의 트래픽 분석 필요

→ 지도 서비스 내 정보 업데이트 및 리뷰 관리 강화 추천

 

2. 네이버 카페 & 카카오 채널 활용

m.cafe.naver.com, center-pf.kakao.com 트래픽이 상당함

→ 카페 게시글 & 카카오 채널 컨텐츠 업로드 주기적으로 진행

 

3. Referral 사이트 추가 분석

→ 정체가 불분명한 사이트 확인 필요

→ 긍정적인 트래픽이면 협업 검토, 부정적이면 차단 고려

 

4. UTM 태그 확인 및 추가 설정 필요

(not set) 발생 원인을 찾고, UTM 태그를 활용하여 출처 추적 강화

 

 

728x90
반응형
LIST

맞춤 측정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은 사용자가 직접 만든다는 점만 빼면 애널리틱스 계정의 기본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과 동일합니다. 맞춤 측정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을 사용하면 애널리틱스에서 자동으로 추적하지 않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맞춤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애널리틱스 계정의 속성 수준에서 설정됩니다. 맞춤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을 만들거나 수정하려면 속성 수정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맞춤 측정기준이나 측정항목은 2단계 과정을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속성에서 맞춤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을 설정합니다. 그런 다음 추적 코드를 수정합니다. 아래 단계를 순서대로 완료해야 합니다.

이 도움말에 나와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맞춤 측정기준 설정하기

  1. Google 애널리틱스에 로그인합니다.
  2. 관리를 클릭한 후 맞춤 측정기준을 추가할 속성으로 이동합니다.
  3. 속성 열에서 맞춤 정의 > 맞춤 측정기준을 클릭합니다.
  4. 새 맞춤 측정기준을 클릭합니다.
  5. 이름을 추가합니다.
    이름으로 임의의 문자열을 사용해도 되지만, 보고서에서 다른 맞춤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과 혼동되지 않도록 고유한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범위를 선택합니다.
    조회, 세션, 사용자 또는 제품 수준의 추적을 선택합니다. 범위와 맞춤 측정기준이 Google 개발자 가이드에서 처리되는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7.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고 보고서에서 측정기준을 바로 보려면 활성 확인란을 선택합니다. 측정기준을 만들었지만 비활성화 상태로 두려면 이 확인란을 선택 해제합니다.
  8.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맞춤 측정항목 설정하기

  1. Google 애널리틱스에 로그인합니다.
  2. 관리를 클릭한 후 맞춤 측정항목을 추가할 속성으로 이동합니다.
  3. 속성 열에서 맞춤 정의 > 맞춤 측정항목을 클릭합니다.
  4. 새 맞춤 측정항목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이름을 추가합니다.
    이름으로 임의의 문자열을 사용해도 되지만, 보고서에서 다른 맞춤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과 혼동되지 않도록 고유한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형식 유형 드롭다운 메뉴에서 정수, 통화 또는 시간을 선택합니다.
    정수는 임의로 넣어도 됩니다. 통화 유형은 보기 설정(예: 미국 달러, 엔)과 일치하며, 금액은 10진수로 입력해야 합니다. 시간은 초 단위로 지정하지만, 보고서에는 시:분:초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7.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고 보고서에서 측정항목을 바로 보려면 활성 확인란을 선택합니다. 측정항목을 만들었지만 비활성화 상태로 두려면 이 체크박스를 선택 해제합니다.
  8.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추적 코드 수정

속성에서 맞춤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을 만든 후 추적 코드 수정도 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일정 자격을 갖춘 개발자가 수행해야 합니다. 개발자 가이드에서 환경별 도움말을 읽어보세요.

맞춤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 수정

일단 만들어진 맞춤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삭제할 수 없지만, 계정에서 이 설정으로 돌아와서 관리하고 수정할 수는 있습니다. 기존의 맞춤 측정기준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려면 사용중 체크박스의 선택을 해제하고 저장을 클릭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Google Ads에서 사용되는 클릭수와 애널리틱스에서 사용되는 세션수, 사용자 수, 접속수, 페이지뷰 수 및 순 페이지뷰 수의 차이점

애널리틱스 계정의 데이터는 여러 보고서에서 유사한 용어가 많이 사용되어 잘못 해석하기 쉽습니다. 이 도움말에는 가장 많이 질문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이 도움말에 나와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릭수 vs. 세션수

Google Ads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클릭수와 잠재고객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세션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보고서에서 클릭수 항목은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나타내고, 세션수는 사용자가 시작한 순 세션수를 나타냅니다. 두 값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1명이 광고를 여러 번 클릭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1명이 같은 세션에서 광고 하나를 여러 번 클릭하면 Google Ads에서는 이를 여러 번의 클릭으로 기록하지만, 애널리틱스에서는 각각의 페이지뷰를 세션 1회로 인식합니다. 이 현상은 사용자가 비교 구매를 하는 경우에 자주 발생합니다.
  • 사용자가 특정 광고를 클릭했다가 나중에 다른 세션 중에 북마크를 통해 클릭했던 광고의 사이트로 바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원래 세션의 추천 정보가 유지되기 때문에 한 번의 클릭에서 여러 세션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됩니다.
  •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했지만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브라우저의 중지 버튼을 눌러서 페이지가 완전히 로드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가 실행되지 않아 Google 서버로 추적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지만, Google Ads에서는 클릭이 기록됩니다.
  • Google Ads는 정확한 결제를 위해 보고서에서 무효 클릭을 자동으로 걸러냅니다. 애널리틱스 보고서에는 트래픽 관련 모든 데이터를 보고하기 위해 이러한 클릭도 웹사이트 세션수로 기록됩니다.

클릭수와 세션수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클릭수 vs. 사용자 수

Google Ads 보고서 등에서 사용되는 클릭수와 잠재고객 보고서 등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Google Ads 보고서의 클릭수 항목은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보여주며, 사용자 수는 광고를 클릭한 순 사용자 수를 보여줍니다. 두 값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1명이 광고를 여러 번 클릭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1명이 같은 세션에서 광고 하나를 여러 번 클릭한 경우 Google Ads에서는 이를 여러 번의 클릭으로 기록하지만, 애널리틱스에서는 사용자 1명으로 인식합니다. 이 현상은 사용자가 비교 구매를 하는 경우에 자주 발생합니다.
  •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했지만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브라우저의 중지 버튼을 눌러서 페이지가 완전히 로드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가 실행되지 않아 Google 서버로 추적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집계되지 않습니다. Google Ads에서는 클릭이 기록됩니다.
  • Google Ads는 정확한 결제를 위해 보고서에서 무효 클릭을 자동으로 걸러냅니다. 하지만 애널리틱스에서는 전체 트래픽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해 광고를 클릭한 사용자를 보고합니다.

세션수 vs. 사용자 수

애널리틱스는 광고주 계정의 세션수와 사용자 수를 모두 측정합니다. 세션수는 사이트의 모든 사용자가 시작한 개별 세션 수를 나타냅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한 후 30분 이상 어떤 작업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이후에 발생한 모든 작업은 새로운 세션으로 간주됩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떠났다가 30분 내에 다시 방문하면 해당 방문은 원래 세션의 일부로 기록됩니다.

언제든지 최초 세션의 방문자는 새로운 세션 및 새로운 사용자로 간주됩니다. 이 기간에 동일한 사용자가 추가로 발생시키는 세션은 추가 세션으로 집계되지만, 추가 사용자로는 집계되지 않습니다.

세션수 vs. 방문수

세션수는 세션의 첫 번째 조회와 함께 누적되기 시작하고, 접속수는 세션의 첫 번째 페이지뷰 조회와 함께 누적되기 시작합니다. 세션의 첫 번째 조회가 페이지뷰가 아니면 세션수와 방문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페이지뷰 수 vs. 순 페이지뷰 수

- 페이지뷰 : 브라우저에서 페이지가 (재)로드되는 인스턴스. 조회된 전체 페이지 수로 정의되는 측정항목.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를 탐색한 후 다시 원래 페이지로 돌아올 경우에도 새로운 페이지뷰로 기록된다.

-순페이지뷰 :  동일 세션 동안 동일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누적 페이지뷰 수, 페이지가 한 번 이상 조회된 세션수 

728x90
반응형
LIST




​페이지 RPM
1,000회 노출당 페이지 수익(RPM)은 예상 수입을 페이지 조회수로 나눈 다음 1,000을 곱한 값입니다.

페이지 RPM =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수) * 1000

25회의 페이지 조회수에 따른 예상 수입이 0.15달러라면, 페이지 RPM은 6달러가 됩니다((0.15 / 25) * 1,000).

​노출 RPM
1,000회 노출당 노출 수익(RPM)이란 1,000회 노출당 평균 수입입니다.
노출 RPM = (예상 수입 / 노출수) * 1000




728x90
반응형
LIST

소개

Google 신호 데이터를 활성화하면 기존 Google 애널리틱스 기능이 업데이트되어 광고 개인 최적화를 사용하는 Google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집계 데이터도 포함됩니다.

기존 Google 애널리틱스 기능Google 신호 데이터가 활성화된 경우

Google 애널리틱스를 사용한 리마케팅

Google 애널리틱스 데이터로부터 리마케팅 잠재고객을 만들고 해당 잠재고객을 연결된 광고 계정과 공유합니다.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만들고 Google Ads 및 기타 Google Marketing Platform 제품에 게시한 잠재고객이 교차 기기에 적용되는 리마케팅 캠페인의 광고를 광고 개인 최적화를 사용하는 Google 사용자에게 게재할 수 있습니다.

광고 보고서 기능

Google 애널리틱스는 현재 존재하는 Google 광고 쿠키는 물론 추적 코드 구성에 따라 정보를 수집합니다.

Google 애널리틱스가 광고 개인 최적화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집합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인구통계 및 관심분야 보고서

Google 애널리틱스는 DoubleClick 쿠키(웹 활동) 및 기기 광고 ID로부터 추가 정보를 수집합니다.

Google 애널리틱스가 광고 개인 최적화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집합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교차 기기 보고서(베타)

다른 세션의 기기 및 활동에 대한 데이터를 연결하고, 첫 접속부터 장기 유지까지 전환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베타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계정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광고 개인 최적화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집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Google 애널리틱스는 기기 유형에 상관없이 전체 사용자층의 행동을 모델링합니다. 데이터는 세션 기반이 아닌 사용자 기반입니다. 이 동작 모델링에는 User ID 보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answer/7532985?hl=ko&utm_id=ad&authuser=1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