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에 대응한 신(新)수출동력 창출과 상품 중심 무역구조 혁신을 위해 「K-서비스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마련(11개 관계부처 합동) → 한류·K-방역으로 높아진 국가브랜드를 바탕으로, ’25년 서비스 10대 수출 강국(’19년 16위) 도약을 위해 3대 지원체계(기업・시장・인프라) 혁신 및 콘텐츠·헬스케어 등 6대 유망 K-서비스 집중 육성
❶ 디지털 수출 플랫폼 전면 구축, 자금지원 확대, 트랙레코드 확보 등 서비스 기업들이 해외진출 과정에서 당면하는 현장애로 밀착 해소
❷ 제조·서비스연계, K-브랜드 활용, 전략적 ODA 강화 등 코로나-19에 대응한 전략적 수출 지원으로 글로벌 시장 경쟁력 제고
❸ 해외 지재권 보호, 서비스 무역통계 혁신, 범부처 총력지원체계 구축 등 제조업에 못지않은 수출인프라 구축
질병관리본부, 서울시,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을 메인으로 보았고, 그외에는 사람들에게 많이 회자되었던 사이트, 구글에서 "코로나". "코로나 현황" 으로 검색해서 빈도수가 높은 곳을 위주로 찾아보았음. 의외로 초기에도 불구하고 "경기도감영변관리지원단" 이 외부툴을 쓰긴하지만 데이터를 잘 다루는게 돋보임.
SAN FRANCISCO--(BUSINESS WIRE)-- Fitbit, Inc. (NYSE: FIT) today announced that it has entered into a definitive agreement to be acquired by Google LLC for $7.35 per share in cash, valuing the company at a fully diluted equity value of approximately $2.1 billion.
Fitbit, Inc. (NYSE : FIT)는 오늘 자사 주식을 약 21 억 달러의 완전히희석 된 주식 가치로 평가하면서 현금으로 주당 $ 7.35에 Google LLC가 인수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More than 12 years ago, we set an audacious company vision – to make everyone in the world healthier. Today, I’m incredibly proud of what we’ve achieved towards reaching that goal. We have built a trusted brand that supports more than 28 million active users around the globe who rely on our products to live a healthier, more active life,” said James Park, co-founder and CEO of Fitbit. “Google is an ideal partner to advance our mission. With Google’s resources and global platform, Fitbit will be able to accelerate innovation in the wearables category, scale faster, and make health even more accessible to everyone. I could not be more excited for what lies ahead.”
12년 전, "세계 모든 사람을 건강하게 만들자" 라는 호기로운 회사 이념을 세웠습니다. (중략)
Google의 글로벌 플랫폼과 리소스를 바탕으로, Fitbit은 그들의 웨어러블 분야의혁신을 가속화 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audacious a. 대담한, 호기로운
"Fitbit has been a true pioneer in the industry and has created terrific products, experiences and a vibrant community of users," said Rick Osterloh, Senior Vice President, Devices & Services at Google. "We're looking forward to working with the incredible talent at Fitbit, and bringing together the best hardware, software and AI, to build wearables to help even more people around the world."
Fitbit은 이 업계의 진정한 선구자였으며, 훌륭한 제품, 경험 그리고활기찬 사용자 커뮤니티를 만들었습니다. (중략)우리는 Fitbit의 놀라운 인재와 함께 일하고 최고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AI를 통합하여 웨어러블을 구축하여 전 세계의 더 많은 사람들을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7위를 한 클로버 헬스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건강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2013년 세워졌으며 주로 노인층과 장애인을 위한 보험 우대 상품인Medicare Advantage에 집중하고 있다.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입원율을 낮추고 만성질환 발견율을 높이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This repository contains a number of front-end interview questions that can be used when vetting potential candidates. It is by no means recommended to use every single question here on the same candidate (that would take hours). Choosing a few items from this list should help you vet the intended skills you require.
Note:Keep in mind that many of these questions are open-ended and could lead to interesting discussions that tell you more about the person's capabilities than a straight answer would.
You can read more about this project & its historyhere.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13일 오전 서울 광화문에서 14차 회의를 개최하고 ‘개인주도형 의료데이터 이용 활성화 전략’을 심의·의결했다. 개인주도형 의료데이터 이용 활성화 전략은 위원회 내 디지털 헬스케어 특별위원회와 관계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자원통상부)가 협의를 거쳐 조만간 구체적인 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개인 의료데이터는 의료기관, 공공기관 등이 보유·관리하고 공유되지 않아 정보주체인 개인이 열람하거나 활용하는 데 제약이 많았다. 의료데이터의 소유자가 환자 본인인 점을 감안하면 정보 유통을 병원이 좌지우지하는 관행이 적절치 않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병원이 아닌 개인이 주도적으로 의료데이터를 통합하고 활용하면 의료 서비스의 질도 높아지고 의료비 절감도 가능하고 궁극적으로는 개인이 스마트폰이나 PC 등을 통해 의료데이터를 열람하고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고려하고 있다"는 설명.
이 경우 새로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다른 병원의 진료 기록을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병원에 갈 때마다 기존 병원의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
4차산업위는 전략 실천을 위해 중점 추진 과제도 선정했다. 정부가 의료데이터 통합·활용을 지원하는 ‘마이 헬스웨이(My Healthway)’ 시스템을 개발하고, 공공기관·의료기관·웨어러블 기기 등의 의료데이터를 표준화해 연계한다고 밝혔다.
티스토리에서 앱을 업데이트 했다길래 바로 업데이트하러 고고! 기존에는 글쓰기에 제한이 되었는데 지금은 어떻게 변했을지!!
정말 디자인 깔끔하고 정갈하니 너무 내 취향💛
업데이트
1. 홈 탭과 통계
블로그의 지금 이 순간 정보, 그리고 자세한 통계와 유입 정보 확인
2. 피드
티스토리 피드 즐기기
3. 에디터
PC 웹에서 작성한 글도 모바일앱에서 수정가능!! 🤩
4. 알림
댓글, 내 블로그 구독, 팀블로그 초대 등 알림 확인
5. 내 블로그
블로그 관련 정보와 글의 상태변경 및 내용 수정, 글별 통계 가능
카카오엔터프라이즈(영어:Kakao Enterprise)는2019년12월설립된인공지능기반의플랫폼과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이다. 카카오의 사내독립기업(CIC) 'AI랩'이 분사한 회사로, AI랩은 그동안 카카오 안에서 인공지능(AI), 챗봇 등을 개발하고 운영해 왔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기업형(엔터프라이즈) IT 시장에서 서비스형 플랫폼(PaaS)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분야의 대표 사업자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2019년 12월 3일 출범하였다.
| 기업의 핵심 가치
Manifesto: 우리는 꿈을 현실로 만드는 여정에 함께하는 동반자들이다. 우리는 사람들이 자신의 꿈을 실현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한다.
The way we work: Why not? (당연한 것들에 대한 도전), If Kakao Enterprise (카카오스러운 생각에 대한 기대)
카카오만의 기술과 경험, 그리고 차별적인 경쟁력으로 더 많은 비즈니스와 산업을 새롭게 바꾼다.[1]
카카오가 기업용 IT시스템을 제공하는 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출범시켰다. 지난 5월 카카오 내 사내 독립기업(CIC)으로 조직 개편됐던 AI랩이 분사한 것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일반 기업들이 카카오가 사용하는 기술을 비즈니스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회사 측은 “합리적인 비용과 안정성, 편리성을 갖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큰 엔터프라이즈 IT 시장에서 서비스형플랫폼(PaaS),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분야의 대표 사업자로 성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스피커, 로봇 등과의 연계를 통해 엔터프라이즈 IT 시장의 혁신을 가속화 하겠다고 설명했다.
‘슬랙’과 같은 기업용 메신저 사업도 준비 중이다. 회사 측은 “기업이 원하는 보안과 관리 기능을 추가해 업무용으로 적합하면서도 편리함을 갖춘 서비스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인공지능과 고도화된 검색 기능을 기업용 메신저와 함께 제공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Google의 공동 창립자인 Larry Page는 '완벽한 검색엔진이란 사용자가 뜻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원하는 결과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엔진'이라고 말합니다. Google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을 때 사용자는 검색어를 입력하자마자 정확한 결과가 도출되는 것에 크게 놀랐을 것입니다. Google의 성공 비결은 다른 검색엔진보다 정확한 답을 훨씬 빨리 제공하는 데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동안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왔고 웹의 면모도 변화했습니다. 검색이 결코 풀리지 않는 숙제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에 Google은 앞으로도 계속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해 나감으로써 보스톤의 책상 앞에서든 방콕에서 전화를 통해서든 정보를 찾는 사람이라면 누구나가 사용할 수 있는 신속하고 정확하며 사용이 간편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또한 Google은 검색을 통해 얻은 교훈을 활용하여 더 많은 난관을 극복해 왔습니다.
미래를 준비하는 데 있어 이러한 핵심 원칙들이 Google을 이끌 것입니다.
Google이 발견한 10가지 진실
1. 사용자에게 초점을 맞추면 나머지는 저절로 따라 옵니다.
처음부터 Google은 최고의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춰 왔습니다. Google은 새로운 인터넷 브라우저를 개발하든 홈페이지의 외양을 새롭게 변경하든 언제나 내부의 목표나 수익보다는 이것이 사용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가를 가장 크게 고려합니다. Google 홈페이지의 인터페이스는 간단하고 명료하며 페이지가 즉시 표시됩니다. 검색결과 게재 위치도 판매의 대상이 된 적이 없으며, 광고는 확실히 표시가 될 뿐 아니라 관련성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며 산만하지 않습니다. 또한 Google은 새로운 도구와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사용자가 부족함을 느끼지 않도록 완벽을 기합니다.
2.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Google은 검색 전문 업체입니다. 검색 문제 해결에 주력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원을 보유한 Google은 Google의 강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강점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지 충분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문제에 대한 끊임없는 해결 노력을 통해 복잡한 사안을 해결하고 수많은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유연한 정보 검색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도 기울일 수 있었습니다. 검색 환경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Google은 Gmail이나 Google 지도 같은 새 제품에도 연구 성과를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Google은 검색 기능을 새로운 분야로 확장하고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접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3. 느린 것보다 빠른 것이 낫습니다.
Google은 시간의 소중함을 알기에 웹에서 정보를 검색할 때 원하는 결과를 곧바로 제공해 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최대한 빨리 사이트를 떠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하는 기업은 Google밖에 없을 것입니다. Google은 페이지에서 불필요한 비트와 바이트를 모두 제거하여 서비스 환경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검색 속도 기록을 자체적으로 계속 갱신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검색결과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이 1초도 걸리지 않습니다. Google은 모바일 제품이나 현재 웹에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된 브라우저인 Google 크롬과 같은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속도를 항상 염두에 둡니다. Google은 지금도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4. 인터넷은 민주주의가 통하는 세상입니다.
Google은 사이트가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수많은 웹사이트 운영자의 의견을 참조하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Google은 웹에서 다른 페이지의 '투표'를 거쳐 어떤 사이트가 웹에서 최고의 정보원으로 선정되었는지 분석하는 Google의 특허 기술인 PageRank™ 알고리즘을 비롯하여 200가지가 넘는 다양한 신호와 기술을 사용해 모든 웹페이지의 중요도를 평가합니다. 웹의 규모가 커지면서 각각의 새로운 사이트가 또 하나의 정보원과 투표원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 방식은 더욱 정확해지고 객관성을 갖게 됩니다. 같은 맥락에서 Google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프로그래머들의 공동작업을 통한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5. 책상 앞에서만 검색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모바일 환경에 대한 전 세계의 의존도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필요한 정보에 액세스하기를 원합니다. Google은 전 세계 모든 사용자가 전화를 통해 Google 검색에 액세스하는 다양한 방법을 비롯하여 이메일과 캘린더 일정을 확인하고 동영상을 보는 등 휴대전화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돕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Google은 무료 오픈소스 모바일 플랫폼인 Android를 통해 모바일 사용자에게 더 뛰어나고 혁신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ndroid는 인터넷의 모태가 된 개방성을 모바일 세계에 선사할 것입니다. Android는 고객이 더 다양하고 혁신적인 새로운 모바일 세상을 경험하게 할 뿐 아니라 통신업체나 제조업체 및 개발자에게도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는 기회를 열어 줄 것입니다.
6. 부정한 방법을 쓰지 않고도 돈을 벌 수 있습니다.
Google은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입니다. Google은 다른 회사에 검색 기술을 제공하고, Google 사이트나 웹 상의 기타 사이트에 게재된 광고 영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전 세계 수많은 광고주가 제품 홍보를 위해 애드워즈를 사용하고 수많은 사이트 운영자가 애드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이트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Google은 궁극적으로 광고주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광고 프로그램과 활동의 기준이 되는 일련의 원칙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Google은 결과 페이지에 관련이 없는 광고가 게재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Google은 사용자가 찾는 정보와 관련이 있는 광고만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검색결과에 광고가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Google은 현란하지 않은 광고로도 광고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팝업 광고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허용하지 않습니다. 사용자와 관련성이 높은 텍스트 광고가 무작위로 표시되는 광고에 비해 클릭률(clickthrough rate)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고주는 사업의 규모와 관계 없이 정확하게 타겟팅된 잠재고객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에 게재된 광고는 '스폰서 링크'로 확실히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색결과의 신뢰성을 손상하지 않습니다. Google은 검색결과에서 파트너의 게재 순위를 높이는 방식으로 조작하지 않으며 돈을 받고 더 나은 PageRank를 팔거나 하지 않습니다. 사용자는 Google의 객관성을 신뢰할 수 있으며 Google은 단기적인 이익을 얻고자 사용자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7. 세상에는 무한한 정보가 존재합니다.
Google이 그 어떤 검색 서비스보다도 더 많은 HTML 페이지를 인터넷 검색 색인에 포함시키는 데 성공하자 Google의 엔지니어들은 그보다 액세스하기 어려운 정보에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어떤 경우는 전화 번호 및 주소 조회나 업종별 전화번호부를 추가하는 것과 같이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에 포함시키는 정도의 간단한 일이었지만 때로는 뉴스 자료실이나 특허권, 학술 기사, 수십 억 개의 이미지와 수백만 권의 책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과 같이 좀 더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Google은 지금도 정보를 찾아 헤매는 사람들에게 세상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자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8. 정보의 필요성에는 국경이 없습니다.
Google은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되었지만 Google의 목표는 사용자가 전 세계 모든 정보에 모든 언어로 쉽게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수십 개국에 지사를 두고 150개 이상의 인터넷 도메인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결과 검색의 절반 이상이 미국 이외 지역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Google은 검색 인터페이스를 110개가 넘는 언어로 제공하고 있으며, 검색결과를 본인의 언어로 기록된 콘텐츠로만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가급적 많은 언어로 응용프로그램과 제품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Google의 번역 도구를 활용하면 지구 반대편에 있는 전혀 알 수 없는 언어로 기록된 콘텐츠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와 자원 번역가의 도움으로 Google은 지구 저편 멀리 떨어진 지역에 이르기까지 서비스의 다양성과 품질을 개선해 올 수 있었습니다.
9. 정장을 입지 않아도 업무를 훌륭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
Google 창립자들은 일은 도전적이어야 하며 그 도전은 즐거워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Google을 설립했습니다. Google은 뛰어나고 창조적인 성과는 올바른 기업 문화 안에서 더 잘 이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라바 램프나 짐볼이 연상되는 좋은 근무 환경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회사의 전체적인 성공에 기여하는 팀의 성과와 개개인의 성취감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Google은 독창적인 방식으로 일과 삶에 다가가며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갖춘 열정적이고 활기에 찬 직원들을 매우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내 분위기가 여유로워 보이지만 일단 새로운 아이디어가 카페, 팀 회의 체육관에서 제시되면 빠른 속도로 교환, 테스트되고 실행에 옮겨집니다. 그리고 이런 과정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프로젝트의 시작이 될 수도 있습니다.
10. 위대하다는 것에 만족할 수 없습니다.
Google에게 최고란 끝이 아니라 시작을 의미합니다. Google은 아직 도달할 수 없는 것을 목표로 삼습니다.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할 때 기대했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혁신과 반복을 통해, Google은 성공적인 서비스도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향상시키기를 원합니다. 예를 들어, 정확한 철자를 입력했을 때 검색 기능이 잘 작동하는 것을 보고 한 엔지니어는 오타를 입력한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연구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직관적이면서도 더 유용한 맞춤법 검사 기능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비록 사용자가 자신이 무엇을 찾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해도, 웹에서 답을 찾는 일은 Google이 해결해야 할 문제이지 사용자의 문제가 아닙니다. Google은 아직 사용자가 명확하게 표현할 수 없는 요구조차도 미리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고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Gmail을 출시했을 당시 이는 다른 어떤 전자 메일 서비스보다도 더 큰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금 보면 너무나 당연해 보이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Google이 전자 메일 저장 용량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것들이 Google이 바라는 변화이며 Google은 언제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분야를 발견해 갈 것입니다. 결국 Google이 끊임없이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들이 Google이 시도하는 모든 작업의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업데이트: Google에서 '십계명'을 작성한지 몇 년이 지났습니다. Google은 때때로 이러한 진리가 아직도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다시 들여다보곤 합니다. Google은 이 진리가 아직도 유효하기를 바라며 이 십계명을 지킬 것을 약속드립니다(2009년 9월).